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KCI 등재
그린즈버러(Greensboro) 진실과화해위원회 일고
A Study on the Greensboro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장원석 ( Jang Won Seok )
DOI 10.34221/KJPS.2018.26.2.2
UCI I410-ECN-0102-2018-300-004038459

진실과화해위원회는 국가적 차원의 인권침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복적 정의의 기제이다. 이행기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작된 이 제도는 근래에 들어 선진 민주국가에도 도입되고 있다. 2004년 노스 캐롤라이나 그린즈버러에서 1979년의 인종적 폭력사태를 재조사하기 위한 진실과화해위원회가 출범하였다. 이 논문은 그린즈버러 진실과화해위원회의 발족 배경과 경과 및 성과 등을 검토함으로써 민간단체가 중심이 되어 정의를 구현하고 지역공동체의 갈등해소를 시도하는 진실과화해위원회의 새로운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린즈버러 진실과화해위원회가 나름대로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고 보고 그 성공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진실과 정의 및 화해 사이에 존재하는 내적인 갈등에 초점을 맞춰 진실과화해위원회의 본질과 내재적 한계에 대해 성찰하였다.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s (TRCs) are a mechanism for restorative justice that addresses human rights violations at the national level. Mainly started from the transitional democratic regimes, recently the TRCs have been adapted even to the advanced democratic countries. The Greensboro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GTRC) was originally launched in 2004 to reinvestigate a 1979 incident of racial violence. This paper attempted to review the backgrounds, sequences and consequences of the GTRC and look into a new trend of TRC that seeks to realize justice and resolve some community conflicts as an unofficial institution based on grass-root organizations. Then, supposing that the GTRC has been successful to some degree, I examined the main causes for this success. Lastly, I reflected upon the natures and inherent limits of the commission, focusing on inner conflict between truth, justice and reconciliation.

I. 서 론
II. 전환기의 정의와 진실과화해위원회
III. 그린즈버러 진실과화해위원회의 출범
IV. 논쟁과 평가
V. 맺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