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전후 일본사에서 ‘정치의 계절’이라 불렸던 1960년대에 이로카와 다이키치, 야스마루 요시오 등 민중 사학을 중심으로 일본 사회에 나타났던 인민/민중(people)의 이미지에 대해 다룬다. 이 시기는 패전과 더불어 더욱 강화된 메이지 신화가 창출되는 시기였다. 하지만 메이지 시대는 새롭게 만들어지던 ‘근대국민국가’라는 장치에 의해 인민들이 가지고 있던 소박한 꿈이나 희망, 유토피아가 압살되는 시기이기도 했다. 1960년대 일본 사회 속에서 민중사가들이 과거 인민/민중의 이미지에 주목했던 것은 고도 경제성장, 그리고 소비자본주의 사회가 만들어내는 스펙터클한 환등상(phantasmagoria)과 전체주의적 구축물을 돌파하는 제일 주체로서 이미지의 정치성에 주목하면서, 비관주의를 조직하고, 나아가 정치적 수렁 속에서 ‘이미지의 공간’을 발견하기 위해서이다.
이 글에서는 메이지 초기 국가 건설자들이 국민국가 건설, 그리고 국민 통합을 위해 어떠한 이데올로기 구축 작업을 했는지를 리뷰한 후, 메이지 사회 저변에서 일어난 인민들의 투쟁의 의미를 고찰한다. 이 시기 일본 사회에서는 자유 민권운동을 위시한 다양한 농민 봉기가 일어났지만 결과적으로 본다면 이러한 운동들은 모두 패퇴하고, 청일전쟁(1894)과 러일전쟁(1904) 등 일련의 대외전쟁에서의 승리를 거치면서 통치 엘리트들의 창조와 대중의 공모라는 두 행위(agency)의 결합을 통해 천황제 국가는 완성된다. 하지만 1960년대 이 시기의 다양한 민중 봉기에서 당대 인민들의 생생한 이미지를 포착하고자 했던 민중사의 시도는 단지 과거가 원래 어떠했는가를 인식하는 일을 뜻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오히려, “위험의 순간에 섬광처럼 스치는 어떤 기억을 붙잡는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벤야민(W. Benjamin)의 문제의식과 맞닿아 있다. 역사 속의 주인공들에게 “조각난 과거를 다시 일깨워 구축한다(re-membering)”는 엄청난 고통을 수반하는 과제를 지움으로써, 단순히 과거의 사건을 복원하는 차원이 아닌, 당대(전후)를 살아간 그들의 기억과 고통을 전유하고, 나아가 그 현재적 의미를 자리매김 하려는 시도야말로, 전후라는 환등상 속에서 그들이 추구하고자 했던 작업이었던 것이다. 민중사는 이제 지나가버린 구시대의 유물처럼 간주되고 있다. 하지만 인민의 이미지 자체를 상상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오늘날의 사회에서 그들의 작업은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In this manuscript, I explore how images of people were constructed by select Japanese historians, such as Irokawa Daikichi and Yasumaru Yoshio, in 1960’s, which were characterized by active political struggles fought by the left but also gave rise to the legend of Meiji era in the aftermath of the defeat of the World War II. Although Meiji era was touted as the glorious time for Japanese people, this era was also the period that simple personal hopes for a better future held by middle and low class people had been crushed by the apparatus of modern national state built in Meiji era.
Irokawa, Yasumaru and other historians explored the images of people who lived in Meiji era in an effort to reveal the political nature of images as a important medium which breaks through totalitarian construction from the spectacular fantasy, organize pessimism and discover the space of images in the 1960’s Japanese society, which enjoyed fast economic development and consumer-oriented capitalism despite on-going political struggles. In this manuscript, a brief review of the process in which national builders in early Meiji era constructed the ideology of patriotism and nationalism will be followed by the analysis of meanings of people’s political struggles in this era. A special emphasis will be placed on Irokawa and Yasumaru’s works, which captured images of people who lived in Meiji era and reflected on how these struggles were eventually negated by submission to the power of the imperial state and the conspiracy between people and the ruling elite in following years. However, their attempts to capture the image of people are in line with the thought of W. benjamin, in that the past is not the act of recognizing what it was like in the past time, but the act of “capturing certain memory traces that flash across in the moments of crisis,
In my view, Irokawa and Yasumaru’s works were outstanding attempts to “re-member fractured past” by appropriating people’s memories and sufferings from Meiji era and recasting meanings of past people’s struggles in the post-war phantasmagoria in an attempt to reorganize the pessimism. Today, people’s history is regarded as a relic of the past. However, in the contemporary spectacle society in which it is more and more difficult to imagine the image of people, their works still have an important mea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