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위일체의 교리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는 현대의 신학적인 접근 방법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이다. 하나는, 하나님의 유일성 추구로 시작하여 신성의 다원론 쪽으로 향하는 일원론적 접근(monist approach)이다. 다른 하나는 신적인 실체들의 특수성들을 받아들이면서 하나님의 유일성을 설명하는 다원론적 접근(pluralist approach)이다. 삼위일체의 이해를 위한 두 가지 접근 방법 중에 어떤 경우를 택하든지, 이 세 위(位)의 관계에 대해 말할 수 있는 한에서 우리는 무엇인가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그것은 가장 중요한 핵심으로써 하나님의 존재는 오직 관계적 존재라는 사실이다. 이렇게 얻은 하나님의 본질을 이해하도록 이끄는 해석학적 단초가 페리코레시스이다. 여기서 포착된 페리코레틱 관계는 역동성, 친교성, 사회성이 함의된 세 가지의 관련성을 가지며 선교의 통전성을 나타낸다. 페리코레틱 관계를 통한 선교는 상호 관련과 통합을 이루는 통전적 구조이다. 따라서 페리코레틱 관계에 따른 선교적 구조는 첫째, 개인적이면서 사회적인 선교 구조이다. 둘째, 구원과 관련된 선교적 구조는 객관적이며 동시에 주관적이다. 셋째, 현재와 미래가 함께하는 종말론적 선교구조를 지닌다. 넷째, 수직과 수평의 관계에 기초한 선교적 구조를 가진다. 다섯째, 교회와 세상이 상호 작용하는 선교적 구조를 포함한다. 마지막 여섯째로, 그리스도 중심의 선교적 구조를 나타낸다. 페리코레틱 관계는 하나님의 주권적이고 은혜로우신 뜻을 통해 확립된 것이므로 하나님의 통치를 가리킨다. 선교는 하나님 나라의 우주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또한 언약 관계를 통하여 하나님의 통치(왕권)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페리코레틱 관계를 지니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본질은 선교가 통전적으로 이해되는 기초인 것이다.
There are basically two modern theological approaches to understanding the doctrine of the Trinity. One is the monist approach, which begins with the pursuit of God's uniqueness and toward the pluralism of divinity. The other is a pluralist approach that explains the uniqueness of God by accepting the peculiarities of divine realities. In two approach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whatever the case may be, as far as we can say about the relationship of these three person, the most important point we can clearly say is that the existence of Triune God is only relational being. The perichoretic relationship obtained as a hermeneutical key have three implications implicated in dynamics, intimacy, and sociality. Mission through the perichoretic relationship is a holistic structure of interrelationship and integration. Thus the missional structure in perichoretic relationship has firstly a personal and social missional structure. Secondly, the missional structure related to salvation is subjective and objective at the same time. Thirdly, it has an eschatological mission structure with present and future. Fourthly, it has a missional structur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Fifthly, it includes a missional structure in which the church and the world interact. Lastly, it represents a Christ-centered missional structure. The pericoretic relationship is established through the sovereign and gracious will of God, and thus refers to the reign of God. Mission includes not only the universal realm of the kingdom of God, but also the reign of God through covenant relationships. Therefore, the essence of the Triune God with a perichoretic relationship i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God's holistic 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