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니야야 학파의 인식수단과 인식결과에 대한 지넨드라붓디의 검증
Buddhist examination of Nyaya’s pramana and phala in Pramanasamuccayatika 112.12-117.4
박기열 ( Park Ki Yeal )
인도철학 52권 75-110(36pages)
UCI I410-ECN-0102-2018-100-003668317

본고는 디그나가의 『집량론·자주』(PSV Ⅰ) 「직접지각」장: kk. 19c-20에 상당하는 지넨드라붓디의 『집량론·복주』(PST): pp. 112.12~117.4)에 대한 번역 및 분석이다. 서론에서는 본고의 이해를 돕기 위해 PSV 해당 개소의 번역과 개요를 서술하였다. 내용은 PSV Ⅰ중에서 니야야 학파의 지각의 정의에 대한 검증 중에 후반부, 인식수단과 인식결과에 대한 디그나가의 검정과 지넨드라붓디의 주석이다. 니야야 학파는 인식수단과 인식결과는 상이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디그나가는 그 두 가지의 인식요소들이 서로 다르다고 한다면, 각각은 서로 다른 인식대상을 가져야만 하지만, 그것은 실질적으로 모순이라는 취지 아래, 니야야 학파의 반론들을 차례차례 논파해 나간다. PST에서는 PSV에 대한 주석 이외에 지넨드라붓디의 독자적인 해설과 논증식이 보인다. 파니니 문법에 기반한 구문 분석과 다르마키르티의 변충의 일종인 비존재(=비인식)를 증인으로 내세워 귀류환원법과 반소증거척법을 이용하여 불교 측의 주장을 입증하는 동시에 니야야 학파의 주장을 거척한다. 결론적으로 디그나가의 주장과 지넨드라붓디의 주석은 어떤 하나의 인식대상을 기반으로 한 인식수단과 인식결과의 동일성, 즉 자기인식설을 입증하고 있다.

This research is translation in Korean and the analysis on Jinendrabuddhi’s PramanasamuccayaTika (PST ) Ⅰ 112.12-117.4, commenting to Dignaga’s Pramanasamuccaya (PSV ) Ⅰ kk. 19c-20 and svavrtti. The PSV is translated in Introduction to help to understand Jinenedrabuddhi’s point in the body of the paper. The contents of the paper are on examination of the means of cognition(pramana) and result(phala) of Nyaya school in PSV Ⅰ and Jinendrabuddhi’s comments. Nyaya school insists the result of cognition is different from the means of cognition. Dignaga says, however, if the two elements of cognition were separated each other, they should have different objects of cognitions, but it is contradictory against the real cognitive. He disputes in turn the objections of Nyaya school. In PST, there are some Jinenedrabuddhi’s own line of explanation and syllogism besides the comment to Dignaga’s words or compounds. Jinendrabuddhi excludes Nyaya’s objections and proves Buddhist position through analyzing syntaxes based on Panini and using prasangaviparyaya or sadhyaviparyate badhakapramana including reason(hetu) with vyapakaviruddha or viruddhavyapta, a kind of anupalabuddhi- s in Dharmkirti’s anumana theory. In the final analysis of Dignaga and Jinendrabuddhi, they establish the theory of self-awareness(svadhigama, sva-samvitti ) based on whether the means of cognition and its result have the same object of cognition or no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