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농촌체험마을 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분 분석
A Classification of Regional Pattern Analysis for the Planning of Rural Experience Village
윤성수 ( Yoon Seong-soo ) , 주호길 ( Joo Ho-gil )
UCI I410-ECN-0102-2018-500-004127424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녹색농촌체험마을은 종래의 농가의 경제성을 제고하기 위한, 생산 · 판매 중심에서 벗어나 자연자원과 문화체험을 기반으로 한 그린투어리즘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사업의 시행과정에서 농촌지역의 지역적 자원의 집합체인 어메니티를 고려하지 않고 있어, 그 지역 농촌의 자료를 이용한 개발 방향의 설정이 중요한 사항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지역의 자료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응용 할 수 있는 분석기법의 정립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농촌 지역의 기존의 자료를 바탕으로 농촌을 유형화하여, 농촌지역의 종합계획에 필요한 객관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위해 다변량분석기법인 주성분분석법과 군집분석을 이용하고,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지리적 고찰을 통해 최종적인 농촌지역유형 구분을 하였다. 따라서, 객관화되기 어려운 농촌의 지역자원을 농촌지역의 개발방향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의 범위로, 대상지역은 충청북도 면단위로 하였고, 농촌지역의 국가통계 자료를 이용하였다. 농촌지역의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농촌체험마을 계획수립을 위한 농촌지역유형구분 방법을 정립 하였다.

The mainly concept of the green rural experience village acentric from production and sale, because it is based on the natural resources and traditional culture-experience. But at the implementation of these projects, some basic items are not considered that amenity, natural conditions, and traditional cultures of the village. So at the step of the establishment of developing, the analytical results from the data of a village is embossed to important items. However, the evaluation methodology of rural village need for the applying to localization of green tourism. In this study, the methods of the classification of rural village with existing data are studied, the results looking for applying to the making of principal viewpoint of the development. The analysis methods of classification are used the PCA(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Clustering Analysis and combination of these, and making the revised method for localization of the rural village. In this study, we implement classification of regional pattern analysis for the planning of rural experience village for all eub/ myon in Chungcheongbuk-provi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