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간척지 방조(수)제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친환경적 정비방안
Environment Friendly Improved Scheme for the Utilization of Tide Embankment as a Tourism Resource
김영주 ( Kim Young-joo ) , 최수명 ( Choi Soo-myung ) , 윤광식 ( Yoon Kwang-sik ) , 김홍균 ( Kim Hong-gyun )
UCI I410-ECN-0102-2018-500-004139779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본 고에서는 국내의 대단위 간척사업지구와 해외선진사례를 중심으로 방조(수)의 활용실태 및 사례를 검토하였다. 조사 결과, 국내의 경우에 초창기 간척의 주요 목적에 부합하여 토지이용의 극대화에 치중했을 뿐 부대시설의 하나인 방조제 및 방수제의 활용에는 관심이 부족했었다. 그러나 해외선진사례에서는 내부개발지의 활용뿐만 아니라, 방조제와 방수제를 이용한 다양한 방식의 사업이 전개되고 있다. 특히, 최근 국토의 균형발전 및 농촌주민의 삶의 질의 향상, 주 5일 근무제의 도입 등에 따라 농촌관광이 주목되는 시점에 이에 대한 이용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한다면 지역의 주요한 관광자원으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actual states and cases utilizing tide embankment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large-scale reclamation project in domestic and instances in advanced foreign countr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in domestic the utilization of tide embankment sea dike have not attracted attention because maximizing land use, which was the primary purpose of reclamation project at the early, has been emphasized so far. The advanced foreign countries, however, not only make use of farmland, but also develop activities employing tide embankment. Recently, green tourism is getting attention more and more owing to laying stress on balanced development of country and improvement on life quality of rural residents and launching five days in duty. It is believed that on this favorable trend tide embankment an be employed as a primary tourism resource if its utilization is developed activel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