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농촌권역 공간구조 분석
An Analysis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in Rural Area using the Space Syntax Method
최우명 ( Choi Soo-myung ) , 이행욱 ( Lee Haeng-wook ) , 김영주 ( Kim Young-joo )
UCI I410-ECN-0102-2018-500-004139764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특성과 공간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법인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하여 장흥군 안양면 수문권역을 대상으로 마을단위의 공간구조 해석과 함께 소권역에서 마을들의 공간구조특성을 분석하였다. 권역내 마을의 공간구조 비교·분석결과 농촌마을의 경우 공간구조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복잡하고 격리된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바다와 인접한 마을의 경우 상대적으로 깊이가 얕은 곳에 주거지역이 밀집하여 통합도가 높고 깊이가 얕은 공간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산촌마을의 경우 통합도가 낮고 깊이가 깊은 복잡한 공간구조를 보이고 있다. 한편, 수문권역내 우회도로 완공시 전체 통합도는 증가하고 깊이는 얕아지지만 인지도는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지리적 특성에 따라 공간구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다 다양한 농촌마을의 지리적 특성과 공간변수간의 유의성 검증이 이루어진다면 합리적인 분석방법으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patial analysis is one of the fundamental problems in planning rural villages. Also it is related to a lot of specific characters to use the multi-functionality of rural area. Space syntax method, a quantitative modelling method of space configuration, has been used to analyse the space configuration by the program of Axwoman. Using the Axwoman analyzed the space character of each village and outside the space configuration of the area, and then after the detour hne is completed some change of all the space was compared and analyz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