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시설물의 환경친화적 정비 시에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시설의 종류로서는 물의 흐름, 생식환경의 차이로부터 용 · 배수로, 논 및 소수로, 저수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고려항목으로서는 자유로운 이동, 생식이 가능한 환경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다. 또한 이러한 시설물의 배려에 의한 농촌정비와 발전방향에 대해서도 동일 선에서 검토해 보았다.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한 정비 효과는 지역전체에 미치기 때문에 시설의 유지관리는 농업관계자만의 부담으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농가를 포함한 주민전체 행정의 협력을 얻을 수 있는 체제나 합의 만들기가 중요하다. 따라서 사업계획내용을 검토할 경우에는 이 점을 포함한 검토를 충분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연과의 공생과 지속성이 장래에 걸쳐 확보되기 위해서는 지역이 스스로의 것으로서 받아들이고 환경과의 조화를 배려할 수 있는 방침과 정비 내용, 장래의 유지관리비용 · 부담방법에 관하여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농촌마을이나 지역의 문제를 개선하는 정비사업 제도는 주민참여가 전제되어야 한다. 환경조사, 계획검토를 초기단계부터 지역주민이나 관련 전문가의 참여를 유도하고 환경정비의 내용과 함께 관계단체, 행정과의 역할 분담을 명백히 하며 합의 형성을 도모하는 협력 네트워크의 구축과 정보공유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개발계획 및 설계 공모, 실제 시공 과정과 사업평가 등 사업의 전부분에서 협의가 가능한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앞서 언급한 환경친화적 정비로 인한 다기능적 활용성을 볼 때, 환경배려대책에 관한 정비는 단순히 수리구조물의 환경친화적 정비로 인한 생물종의 생식 · 생육상황의 배려뿐만 아니라 지역의 역사나 생활과의 관계, 농업활동에 관계가 있는 전통문화와의 관계에 관해서도 파악하고 지역관계자에게 피드백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도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Convenience of human activity and improvement of life quality are needed and applied to the field of agriculture as an environmental problem is becoming a social issue. Efficient plan of environment friendly consolidation is necessary for considering rural properties that can be combined with public function as an infrastructure. Proper environment friendly consolidation plans to rural properties are necessary to improve residential amenity and conserve rural ecosystem with technical safety in the environment friendly consolidation of hydraulic facilities. To conserve and restore environment on the development of rural society, environment friendly consolidation and application plan are denoted with agricultural canals, reservoir, weir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