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네트워크 구조 확률함수를 이용한 국내 농산물의 취약성 해석
Vulnerability Analysis of Agricultural Product Export using Network Structural Probability Function
은상규 ( Sang-kyu Eun ) , 배승종 ( Seung-jong Bae ) , 김수진 ( Soo-jin Kim ) , 김성필 ( Seong-pil Kim ) , 배연정 ( Yeon-joung Bae )
UCI I410-ECN-0102-2018-500-004138878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농산물 수출 안정성 확보는 해외 시장의 확대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농산물 수출은 농산업의 발전과 농가소득의 확보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부는 해외 시장의 다각화에 노력중이다. 무역은 다중 국가들의 관계에 의해 구성되며, 농산물 수출의 안정성은 수출국과 수입국들의 관계에 의해 변한다. 네트워크 분석 기법은 다중 국가를 고려한 농산물 무역의 해석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역은 한 국가에서 발생한 경제적 변화를 전 세계에 확산시킬 수 있으며, 글로벌 구조에 의존적인 복잡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국가들의 무역 관계를 글로벌 수준에서 분석하는 것은 많은 시사점을 찾아낼 수 있다. 국내 농산물 수출은 정부의 환경 개선을 목적한 지원을 실시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지원을 받는 일부 품목의 수출 편중 현상은 전년대비 농산물 무역의 증가 폭을 하락과 월별 무역량 등락폭을 증가시켰다. 전년 대비 수출 변화량과 월별 수출 변동폭은 농산물 편중에 따른 국내 농산물 수출 환경의 취약성을 평가하는 자료로 사용되고 있어, 수출 품목 및 지역 관계를 고려한 농산물 수출 편중에 따른 취약성의 평가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출 품목의 연결 구조를 고려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품목의 편중에 따른 국내 농산물 수출의 취약성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로 평가하였다. 모델의 적용 대상은 국내 농산물 수출 품목이며, 결과는 수출 품목의 연결 구조에 따른 취약성이다. 평가 대상은 국내 농산물 수출 품목으로 구성된 다중 연결 시스템이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한국무역통계진흥원(Trade Statistics Service, TRASSTM)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내 농산물 수출 통계이다. 자료는 AGCODE, 품목 명, 연도별 수출량 및 수출액으로 구성되었다. 품목 연결에 의한 다중 연결 시스템 모사에 사용된 자료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AGCODE 최하위 분류의 품목 및 수출액이다. 분석에 사용한 품목은 신선 농산물 배와 포도 등 48개, 가공식품 후추 등 30개며, 분석에 사용한 국가는 일본, 중국, 미국 등 28개다. 국내 농산물 수출 품목으로 구성된 다중 연결 시스템의 취약성은 품목간의 연결 구조를 고려한 형상 모수로 평가하였으며, 농산물 수출 품목의 편중에 정도에 따른 취약성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 중심성 및 군집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국내 신선농산물은 해외 수출 물량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출 지역을 고려한 국내 농산물의 수출 구조는 과거보다 취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