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모바일 앱기반 돌발재해 실시간 모니터링 및 예경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 using USN Based Real-Time Monitoring and Forecasting·Warning System for Abrupt Disaster
김수진 ( Soo-jin Kim ) , 배승종 ( Seung-jong Bae ) , 김성필 ( Seong-pil Kim ) , 배연정 ( Yeon-joung Bae ) , 배원길 ( Won-gil Bae ) , 허준 ( Joon Heo )
UCI I410-ECN-0102-2018-500-004135877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한반도의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 호우, 기록적 폭설 등으로 자연재해 발생빈도가 급증하고 있으며, 건당 피해규모가 커짐에 따라 방재대책의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피해와 재산손실 및 시설물 피해의 대부분은 하천, 사방, 도로 등의 공공시설(전체 피해액의 약 72%)과 비닐하우스, 축사 등과 같은 농업시설(약 20%)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국지성 집중호우는 돌발홍수 뿐만 아니라 지반의 파괴로 인한 산사태를 발생시키는 등 돌발재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재난관리는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등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들어서는 기존의 재난 발생 후 복구중심의 재난관리체계에서 재난위험요인을 사전에 예방·대비하는 예방중심의 국가 재난관리정책으로 전환됨에 따라서 돌발재해 예방을 위한 예·경보시스템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강우예측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돌발홍수 및 산사태 예측 기법과 USN 기반의 돌발재해 실시간 모니터링방법을 통합한 농촌지역 돌발재해 통합 예·경보시스템 통합기반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농업·농촌시설의 “안심”(ANSIM, ANti-risk System of abrupt natural disasters as an Integrated Model) 체계를 구축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하여 1) 돌발재해 위험지역 선정, 2) 강우예측 자료의 선정, 3) 돌발홍수 및 산사태 예측 기법의 구성, 4) 농촌지역에 적합한 돌발재해 감지용 USN 개발 및 통신 네트워크 구성, 5) 지역주민 및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는 돌발재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반 예·경보 서비스 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H/W 및 S/W가 통합된 돌발재해 예경보시스템 프로토타입은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 신리지역에 구축·운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중호우 발생시 돌발재해 모의와 USN 기반의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위험지역의 조기경보 정보로 활용할 수 있으며, 피해의 사전예측을 통해 효율적인 방재대책의 수립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돌발재해와 관련된 연구 및 경보발령에 있어서 무엇보다 필수적인 것은 양질의 관측데이터 수집과 활용에 있다(Song et al., 2015). USN 기반의 산사태 경보 발령기준 설정의 개선 등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효율적인 농촌지역 재해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