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황곡선은 하천의 유황 변동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간유량 분석방법(calendar-year method)과 전 자료기간유량 분석방법(total-period method)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분석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1년 365일에 대한 유량에 순위를 부여하고, 특정 지속일수 순위의 유량 값을 자료기간 년 수로 평균하여 산정하는 연간유량 분석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결측 자료가 많아 1년간의 완전한 유량자료를 얻기 어려워 결측된 일부 자료는 수문모형을 통해 보완되기도 한다. 한편, 전 자료기간유량분석방법은 전 기간의 유황을 큰 것부터 순위를 부여하고, 초과확률 백분율에 따라 유황을 산정하기 때문에 일부 기간의 자료가 결측되어도 분석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사용빈도가 낮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유황곡선을 작성하고, 작성방법에 따른 유황 값을 비교하고자 한다. 유황곡선 작성을 위한 유량자료는 환경부에서 8일 간격으로 측정하는 자료와 국토교통부 수위관측소에서 매일 측정되는 자료, HSPF 모형에 의해 모의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황분석 시 유황곡선 작성방법 선정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