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생명 과학 II 교과서의 ‘생명 공학’ 단원에 학생들이 탐구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교실과 실험실 탐구활동에 관한 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현행 생명 과학 II 교과서 5종의 ‘생명 공학’ 단원의 학습과정에서 교과의 내용의 표현이 정확하지 않아 오개념이 생겨날 수 있는 내용을 조사하였다. 둘째, 다섯 종의 생명 과학 II 교과서에는 실험실 탐구활동이라 할 수 있는 주제는 하나의 교과서에 하나 밖에 없었으며, 가장 단순한 형질전환 실험 주제마저도 5종의 교과서의 탐구활동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는 학교 현장에서 생명 과학의 탐구활동 교육 목적 달성에 얼마간 기여하고자 학생과 교사를 위한 간단하고 변형된 대장균의 형질전환에 관한 탐구활동 도구를 개발하여 제안 하고자 한다. 이 탐구활동 도구에는 원심분리기, 정밀 피펫, 항온교반기 및 항온가열기 등 같은 고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다. 반면에 상용화된 생물 시료인 대장균 및 플라스미드 DNA와 멸균처리 되어 나온 일회용 소모품인 실험용 튜브, 스포이드 및 페트리 접시 등을 준비하면 된다. 따라서 우리는 이 연구가 학교 현장에서 생명 과학을 가르치고 배우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나아가 앞으로 개정을 앞둔 생명 과학 교과서의 준비에도 유용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Biotechnology1 part in current Life Science II textbooks to analyze student activities both classroom and laboratory for direct involvement in learning. First of all, we analysed the five of High school text books of Life Science II for the section of 'Biotechnology' to find out any inappropriately described context which may develop misconception to the students from learning in the classes. Secondly, not only one text book contain single subject of student involving experimental inquiry but also there was no further experimental inquiry even subject of simple genetic transformation of bacteria in all five text books. Therefore, we are suggesting an easily modified K coli transformation protocol for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to achieve some of our purpose on Life science education at school. There is no need of hightech laboratory equipments such as centrifuge, micro-pipet, shaking incubator and heating block so on. Otherwise, we need prepare to the commercially available biological materials of E. coli and plasmid DNA, and some of sterile single usage consumables such as conical tubes, spoids and Petri-dishes in this simplified protocol. Therefore, we hope it can be useful to the High school as an initial method of Lif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ools and for the revision of future Life science text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