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國 Utah州의 Huntington 火力發電所에서 冷却水를 使用하고 버리는 廢水는 鹽分濃度가 4mmhos/cm 정도로 높아 自然河川으로 그대로 放流시킬 수 없으며, 美 環境法에 따라 安全處理後 放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鹽分廢水 處理方法의 하나로 보리, 밀, 옥수수, 감자 그리고 알팔파등 사료작물의 灌漑用水로 利用할 수 있는 方法이 長期間 試驗硏究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이 方法이 經濟的인 것으로 評價되고 있으나 長期的으로 이 염분폐수로 인한 土壤의 性質變化, 作物의 生産量 減少등에 미치는 영향을 究明하기 위해서 1977년에 始作하여 8年째 連續 硏究事業으로 進行되었다.
本 論文에서는 지난 8年間(1977~1984年)의 觀測·調査資料를 利用하여 염분 관개용수가 長期的으로 토양의 성질과 작물의 生産量에 미치는 영향을 分析하였다. 또한 1984年度의 관측자료로 생산량 推定과 計劃灌漑을 위한 蒸發散과 土壤水分變化를 推定할 수 있는 模型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EC 4mmhos/cm의 염분 관개용수로 8년간 長期間 灌漑한 결과, 灌漑用水의 量에 關係 없이 1977年 3mmhos/cm였던 토양염분농도는 1984年 5mmhos/cm로 增加하였다. 이러한 토양內 염분축적은 예상보다 서서히 進行되었으며, 이 염분축적이 作物의 生産量 減少의 主原因은 아니었다.
2. 지난 2年間의 觀測 結果, 염분 관개용수에 含有된 10ppm정도의 硼素가 作物 특히 보리, 옥수수, 감자등의 생산량 감소의 主原因인 것으로 判斷된다. 염분용수 灌漑區에는 河川水 灌漑區보다 20倍나 많은 硼素가 축적돼 있었으며, 이는 硼素가 토양內에 잘 吸收되며, 토양으로부터 硼素를 溶脫시키려면 염분을 溶脫시킬 때 보다 훨씬 더 많은 溶脫用水를 必要로함을 뜻한다. 앞으로 硼素의 土壤內 축적이 長期的으로 장물생산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아울러 各 작물들의 耐硼素性을 구명하기 위한 模型개발이 要求된다.
3. 염분관개용수로 관개할 때, 보리, 옥수수, 감자등의 穀物 생산량과 風乾物 생산량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보리, 옥수수의 염분용수에 의한 생산량과 河川水에 의한 생산량과의 比는 風乾物의 경우 0.6, 穀物의 경우 0.5였으며 감자의 경우는 0.2以下였다.
4. 염분용수 관개區와 河川水 관개區의 모든작물에서 풍건물 생산량과 蒸散量 사이에는 强한 直線的인 關係를 보였다. 보리, 감자의 穀物 생산량과 蒸散量사이에도 線型의 관계가 成立되었으나, 밀과 옥수수의 穀物 생산량과 蒸散量사이에는 曲線的인 關係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