毅類의 硬度는 毅類의 分類, 性狀의 파악, 等級을 表示하는데 있어서 重示하는데 있어서 重要한 物理的 量으로서, 特히 近來에 와서 그 測定方法에 關한 硏究가 活潑히 進陟되고 있다. 本硏究에서는 이때까지 여러 硏究者에 의하여 提示된 말의 硬度測定方法에 關하여, 批評하고 測定尺度에 關한 理論을 體系化하였다. 보다 나은 硬度測定 方法을 開發하기 위하여 破碎理論(Comminution theory)를 Brabender burr-mill에서의 破碎過程에 適用하였다. 定常的인 破碎過程에 關한 에너지와 粒子減小에 關한 關係式을 誘導, 이로부터 硬度指數를 定義하였다. 偶力測定의 銳敏度를 높이기 위하여 Brabender 機械를 機械的 測定裝置에서 電氣的 測定裝置로 改造하였다.
Brabender 系統에서 얻어진 破碎變數는 Flour Yield, Gaudin-Schuhmann 方程式의 分布 및 粒子係數, 代表粒徑, 最大破碎抵抗, 平均破碎抵抗, 破碎에너지, 破碎指數, 硬度指數등이었다. 82種의 다른 品種의 밀을 實驗하여 얻은 위의 破碎變數들을 單純線型相關分析에 의하여 比較하였다. 重要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粒度의 特性을 測定하여 얻은 硬度의 指數値는 破碎에 要하는 Energy와 相關關係는 있지만 極히 긴밀한 關係에 있다고는 할 수 없었다.
2. 粒度의 特性에서 얻은 여러 變數中에서 Flour Yield가 硬度의 尺度를 가장 잘 表示하여 주었으나 軟硬위 두 分類에만 適合할뿐 엄밀한 分類의 尺度로서는 不適合하다고 認定되었다.
3. Brabender burr-mil에 對하여 에너지와 粒度 減小에 關한 關係式을 誘導하였다.
여기서 E=單位重量當의 破碎에너지
Xr=累積部分 重量의 10%에 相應하는 破碎된 밀의 粒徑
β=Gaudin-Schuhmann 方程式의 分布係數이다.
이 方程式에서 硬度指數(TI=A)를 다음과 같이 定義하였다.
이 方程式은 粒度特性과 破碎에너지 두가지 要因을 包含하고 있으며 硬度指數는 粒度特性과 破碎에너지 두가지에 대단히 强한 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이 두가지 要因을 測定하는 尺度로서 利用 할 수 있을 것이다.
4. 破碎指數(GI)를 定義하는 式은 GI=EXr
로서 Rittinger 方程式 Eoc(1/X2-1/X1)에서 X1》X2=Xr일 때 변형된 것이다. 이 破碎指數는 다른 破碎 變數들과의 相關關係에 있어서 破破指數와 거의 비슷하게 나타 났으나 相對的으로 粒度持性에는 强하고 破碎에너지에는 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