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항암제의 낮은 치료 효율과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해 고분자 기반의 약물전달체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고분자기반의 약물 전달체는 우수한 결과를 보이는 등 상당한 진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혈중에서 안정성이 감소하여 표적 부위에 도달하기 전에 약물이 방출될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에 약물을 방출함으로써 부작용 및 낮은 치료 효율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총론에서는 이러한 비효율적인 약물 방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독성이 없고 생체 적합한 천연 고분자 키토산에 자극 응답성 물질을 도입하여 혈중에서 안정성을 높이고 표적 부위에서 약물을 과다 방출하여 치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Currently, to overcome low therapeutic efficiencies and side effects of anticancer agents, the study of drug carrier based on polymers have been consistently investigated. Although the traditional drug carrier based on polymers displayed an excellent result and significant progress, there has been a problem with the side effect and low therapeutic efficiency because of the premature drug release before reached to the targeted region by the low stability in blood stream and sustained drug release. In this review article, to improve the problem of inefficient drug release, methods were suggested, which can maximize the therapeutic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stability in the blood stream and triggering drug release at the target site by introducing a stimuli-responsive substance to the non-toxic and biocompatible natural polymer chito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