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모험놀이의 초등지리교육적 함의를 고찰하는 것이다. 모험놀이란 모험과 놀이를 결합한 개념으로 안전한 교육환경 하에서 도전적인 집단 놀이 활동으로 정의되며 경험학습에 기반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사례에서는 ‘공간 만들기’와 ‘장소 찾기’ 형태의 모험놀이 활동을 고안하였다. 모험놀이 활동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상황 요소 갈등을 경험하며 최적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문제 인식, 문제 해결방안 도출, 과제 수행의 단계를 거치며 학습자들은 협력과 도전정신을 배우고 성취감을 느꼈다. 모험놀이는 배움의 방식을 존중하는 교육이며, 학습공동체의 가치를 되새기고, 일상을 창의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시도를 가능케한다. 모험놀이를 통해 자발적이고 협력적인 문제해결경험이 격려되고 인정받는 환경에서 상호 신뢰와 지리적 호기심이 자라나는 이른바 모험 자본이 구축된 교실문화가 형성되었다.
This paper explored the elementary geographic educational implication of “Adventure Play.” Adventure Play was defined as an educational activity combined adventurous problems which can be conducted in class, surrounding of a school and communities. Furthermore, it is also an concept based on experience-centered education. The case in this study devised an Adventure Play focusing on “a quest” and “co-creation” and its purpose was to encourage group communication and cooperative activities. In this process : problem recognition, Finding optimal solution, and carrying a solution into practice; children had to experience spontaneous conflicts and to face unexpected obstacles. Each step could be demanding and challenging, however, after finishing the assignment they felt sense of accomplishment. Adventure play, as an education of respecting various approaches, enabled children to remind the value of learningcommunity and to see creatively their surroundings. This was a good way to build camaraderie among groups and develop confidence to challenge problems. Furthermore, this was a good step for developing Adventure Capital in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