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디지털 사회혁신의 정당성과 민주주의 발전: 온라인 청원과 공공문제 해결 사례를 중심으로
Legitimacy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and Democracy: Case of Online Petition and Public Problem Solution Project
조희정 ( Cho Hee-jung ) , 이상돈 ( Lee Sang-done ) , 류석진 ( Lew Seok Jin )
정보화정책 23권 2호 54-72(19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428182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이 글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온라인 청원과 공공문제 해결을 위한 크라우드 소싱 등 디지털 사회혁신(Digital Social Innovation) 사례를 분석하여 시민의 정책 관여가 민주주의에 기여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디지털 사회혁신은 크라우드 소싱이나 온라인 청원과 같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정책 수립과 집행 과정에 시민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시민의 적극적인 정책 개입을 통해 정책 수립 과정은 물론 정책 자체의 민주성을 강화하는 일련의 과정은 개입 정당성(Throughput Legitimacy)이 강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시민의 동의와 협의 과정은 정책의 투명성, 효과성을 강화함으로써 정책 거버넌스의 질과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개입 정당성이 민주주의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경험 연구로 증명하기 위해 디지털 사회혁신의 다양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그 동안 산발적이고 다양하게 시도되었던 디지털 사회혁신이 민주주의의 발전적 요소를 가지고 있고, 다양한 가치를 내재하고 있는 현대 사회의 시민의 참여 효능감을 높이는데 일조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한 개입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디지털사회혁신이 가지는 함의에 대해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latest cases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such as crowdsourcing and online petitions for public trouble-shooting in oder to demonstrate that public engagement of the citizens on decision making can enhance the quality of democracy. Digital Social Innovation contributes to citizen's participation on decision making and policy implementation with taking advantage of digital technologies of crowdsourcing and online petitions. Active civic engagement for decision making literally helps to improve and democratize government policy. These series of processes not only improve quality and efficiency of policy governance by building up transparency and effectiveness of policy itself but also enhance the throughput legitimacy. With this article, I quote and analyze various practices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which we had substantiat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civic engagement for decision making to improve and enhance democracy. The hypothesis that the Digital Social Innovation attempted in various ways is a principal factor of democratization could be verified. Moreover, the practices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helps the civic participation in policy making in modern society. Finally, this article suggests an implication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as part of efforts to ensure the involvement of throughput legitimacy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