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지능사회의 패러다임 변화 전망과 정책적 함의
Paradigms of the Intelligent Society :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황종성 ( Hwang Jong-sung )
정보화정책 23권 2호 3-18(16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428179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지능사회의 등장은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를 몰고올 것으로 예상된다. 역사상 처음으로 사물이 지능을 갖게 되고, 그 결과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예상치 못한 변화가 초래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지능사회의 변화 방향을 전망하기 위해 우선 세계관의 변화 이슈를 분석하였다. 인간과 자연을 두 축으로 하는 이원적 세계관과 인간-기계-자연으로 이루어진 삼원적 세계관을 비교한 후 ‘기술이 매개하는 이원적 세계관’을 지능사회의 세계관으로 제안하였다. 이 세계관에 기초하여 지능사회의 패러다임 변화방향을 네 가지로 요약하여 전망하였다. 1. 지능의 외부화, 2. 생산성 폭발, 3. 플랫폼 사회, 4. 자기조직화 사회가 그것이다. 지능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은 지능증강, 생산능력 제고, 자기조직화 효과 등 다양한 이점을 누리겠지만, 다른 한편으로 기술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어 시스템 실패 가능성도 높아진다. 결론적으로 지능사회의 변화는 가치중립적이기 때문에 인간의 선택과 노력에 따라 유토피아가 될 수도 있고 디스토피아가 될 수도 있다.

Radical paradigm shift is being expected due to the coming of the so-called intelligent society. In the intelligent society, things or machines are able to use intelligence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and this will br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at every corner of human society. This article analyzes views of the world in order to figure out basic directions of this paradigm shift. A dualistic view of world mediated by technology is suggested for a new world view of the intelligent society, based on comparison of a traditional dualistic view of world between human-nature and a tripartite view of world between human-machine-nature. This article summarizes paradigms of the intelligent society into four ; externalization of intelligence, productivity explosion, platform society, and self-organizing society. These new paradigms will provide lots of benefits such as intelligence augmentation, production capacity increase, and self-organizing effect. But at the same time, it will increase risks of system failure because of loss of human control on technologies.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human choices and efforts will decide the future of the intelligent society becuase the paradigm shift is value neutral in ess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