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사악한 기계들의 윤리학 : 통신과 인륜성
The Ethics of Evil Intercourse Machine : Communication and Civility
서동진 ( Dong-jin Seo )
미학예술학연구 53권 41-74(34pages)
DOI 10.17527/JASA.53.0.02
UCI I410-ECN-0102-2018-600-004221813

‘혐오’와 ‘증오’, ‘외로운 늑대’, ‘사이코패스’, ‘공감제로’ 등을 둘러싼 현기증 나는 뉴스를 소비하며 살아가는 세계에서 어떠한 사회적 관계 나아가 기술적 장치가 새로운 윤리적 공동체를 설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까. 분명 오늘날의 소셜미디어가 그에 기여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에 주저 없이 동의할지도 모를일이다. 사정이 그렇다면 이 ‘사악한 기계들’, 즉 오늘날 우리의 의사소통을 중재하는 주된 장치로 자리 잡은 소셜 미디어나 SNS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편은 무엇일까. 인터넷 사용자 문화를 도덕적으로 계몽화하는 것일까(공감과 감정이입, 소통의 윤리적 캠페인이라거나 ‘선플’ 문화 운동?) 아니면 체념적으로 그로부터 벗어나는 것, 즉 로그-오프(log off)하는 것일까. 그러나 이는 모두 장치의 유물론을 회피하면서 새로운 통신의 기술적, 윤리적 장치를 발견하고 탐색하려는 노력을 포기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통신의 윤리를 주관적 도덕의 윤리로 환원하는 오늘날의 지배적인 사유의 결을 거스르려 한다. 그리고 윤리의 객관성이란 점에서 주관적 도덕이나 추상적인 규범에 벗어나 장치와 주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장치와 인륜성의 관계를 사유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 이후의 사회적인 것이란 쟁점을 살펴보며 네트워크로서의 사회, 개인들의 관계망으로서의 사회란 신자유주의적 탈-사회화/재-사회화의 기획이 어떻게 ‘(이데올로기적) 통신-장치’를 통해 물질화되고 또 실행되는지 간략히 살펴본다. 그리고 헤겔의 ‘인륜성’ 개념을 참조하면서 통신-장치의 윤리적 객관성을 사고하기 위한 이론적 가능성을 탐색하여 본다. 그리고 이를 위해 우리는 헤겔-마르크스주의적인 미학이론의 전통을 참조하고자 한다.

Which social relation and furthermore technological apparatus could be helpful to build ethical community? It may not be convincing that social media known as communicative apparatus to construct the social in a fresh manner will be able to serve. Then how could we escape from social media or social network service. Is it to morally enlighten the user culture of the Internet? Or log off, going adrift from it. However, this is giving up to seek and explore the technological-ethical alternative, laying aside the materialism of devices. But I try to keep distance from the assumption that the ethics of communication is reduced to the subjective morality. Furthermore I think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device and civility which is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subject. To this end, I will examine ‘the social after society’, and see how society as a network of individuals is materialized and executed through ‘(ideological) communication-apparatuses’ of neoliberal de(or, re)-socializ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