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감내력은 다양한 심리장애에 영향을 미치며 정신건강, 심리적 적응과 관련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고통감내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된 바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외상과 고통감내력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아동기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및 고통감내력 척도를 사용하여 대학생 41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3.0과 AMOS 21.0으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기외상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하여 고통감내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완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아동기외상이 고통감내력과 부적 상관이 있고, 아동기외상은 내면화된 수치심에 영향을 미치며, 아동기외상은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하여 고통감내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리고 고통감내력 증진을 위한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실천적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Distress tolerance is known as important variable which influenced by various mental disorders related to mental health and adjus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 among childhood trauma, Internalized shame, and distress toleran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partial mediation model was proposed. A total of 415 undergraduate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Childhood Traumatic Questionnaire(CTQ-SF), Internalized shame scale(ISS), and Distress Tolerance Scale(DT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1.0. As a result, SEM analysis confirmed the completed mediation model, in which internalized shame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distress tolerance. These findings indicate as follows. Childhood trauma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istress tolerance. Childhood trauma has an effect on internalized shame, and it has an indirect effect on distress tolerance through internalized shame. Based on these finding, implications counseling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