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농촌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Successful Aging of the Rural Elderly
김연주 ( Yeonju Kim ) , 박순우 ( Soonwoo Park )
인문사회 21 9권 1호 23-36(14pages)
DOI 10.22143/HSS21.9.1.3
UCI I410-ECN-0102-2018-300-003929799

본 연구는 농촌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경제적 요인, 신체적 건강, 심리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조사대상은 충청남도 A군 65세 이상 노인이며, 170부의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농촌노인의 요인별 수준은 5점 만점에 경제적 요인 2.85, 신체적 건강 3.03, 심리사회적 요인 3.16, 성공적 노화 3.65로 나타났으며, 농촌 노인의 경제적 요인, 신체적 건강, 심리사회적 요인이 성공적 노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농촌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농촌노인의 경제적 요인 강화를 위해 일자리, 지역특화사업의 창출 등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신체적 건강증진을 위해 지역사회자원을 동원하고 조직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심리적 요인 강화를 위해 노인들의 자조그룹 등의 결성을 통해 사회활동 참여기회를 높여야 한다.

This article is to define the factors that affects on the successful aging of rural elderly. For that, this study employed such factors as economic life, physical health, and psycho-social well-being which are all understood as of importance in measuring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The data was collected by surveying 170 of the over-65 years old elderly in an A county, Chungcheongnam-do Province. The results shows the following levels of each factors: 2.85 for economic life, 3.03 for physical health, 3.16 for psychosocial well-being, and 3.65 for successful aging; all the three factors appear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successful aging.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 as follows: first, the various methods need to be developed to increase the economic level of the rural elderly such as job creation and locally-specialized industries. Second, local communities need to pay attention to mobilizing and organizing local resources to improve the level of physical health of the elderly. last, to increase the level of their psycho-social wellbeing, the communities need to arrange the ways of enhancing the possibility for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