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시간부사(時間副詞)의 상적(相的) 의미(意味) 표현 양상
A Study on the Aspectual Meaning of Time Adverbs
봉원덕 ( Bong Won-deok )
어문연구 32권 3호 187-209(23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12923

動詞의 相的 類型은 각 동사가 취하는 論項 및 附加語 혹은 文脈的 狀況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진다. 時間副詞는 文章의 相的 特性을 表現함에 있어서 목적어 등의 논항이 표현하지 못하는 時間 關係를 좀더 明示的으로 표현한다. 이 과정에서 시간부사는 동사의 相的 特性과 一致하여 자연스럽게 結合하거나 혹은 衝突하여 결합할 수 없는 樣相을 보인다. 동사의 상적 특성과 충돌할 때, 문장에 시간 표현과 관련된 다른 요소가 實現되거나 문맥적 상황이 뒷받침되면 결합될 수 있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시간부사가 文章 意味 次元에서 상적 의미 표현과 어떤 影響 關係에 있는가를 논의하는 것이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국어 동사를 ‘狀態性 動詞, 動作性 動詞, 完成性 動詞, 成就性動詞, 瞬間性 動詞’의 다섯 가지로 分類하고, 시간부사를 持續性, 反復性, 瞬間性의 시간적 양상에 따라 분류하여 둘 사이의 결합 양상을 檢討하였다.

Aspectual properties of verbs are different according to diverse elements in sentence. And aspectual adverbs express time relation explicitly than another elements in sentence. In this case, aspectual adverbs conflict with aspectual properties of verbs or emphasize aspectual properties of verbs. This study is aim to discuss combination aspects between aspectual adverbs and five aspectual types of verbs. Five types of verbs are “States”, “Activities”, “Accomplishments”, “Achievements” and “Semelfactive”. And aspectual adverbs are divided into “Durative adverbs”, “Iterative adverbs” and “Momentary adverbs”. Based on this study, we can characterize classes of verb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with aspectual adverb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