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4
216.73.216.184
close menu
KCI 등재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초등학생에 대한 학교놀이치료: 단일사례 실험연구
School Play Therapy With A Child Who Exhibiting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Single Case Experimental Design
이은아김 ( Lee Eun-ah Kim ) , 박현아 ( Park Hyun-ah ) , 오경미 ( Oh Kyung-mi ) , 류승민 ( Ryu Seung-min ) , 유미숙 ( Yoo Mee-sook )
DOI 10.17641/KAPT.21.1.9
UCI I410-ECN-0102-2018-100-004024553

본 연구는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초등학생에 대해 학교 현장에서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실시하고 ABA 단일사례 실험설계를 통해 학교놀이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13주간 DOF(Direct Observation Form) 관찰척도를 활용하여 연구참여 아동의 교실 상황과 쉬는 시간 상황에서의 행동 변화를 측정하였고, 담임교사가 세번에 걸쳐 작성한 TRF(Teacher Report Form)를 통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을 평가하였다. 연구참여 아동의 주호소 문제를 토대로 DOF 증후군 척도에서 ‘미성숙/철회 소척도’와 ‘쉬는 시간 상황의 문제행동총점 척도’에 대해 시각적 분석(visual analysis)과 PND(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로 질적·양적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여 아동의 미성숙/철회 행동이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받는 기간 동안 큰 폭으로 하락하였고,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종료된 이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또한 쉬는 시간 상황에서 연구참여 아동의 문제 행동이 감소하였고,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종료된 이후에도 미미하게 효과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담임교사는 연구참여 아동의 문제 행동이 아동중심 놀이치료 개입 이후 감소하거나 동일하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보고와 더불어 관찰이라는 연구 설계를 통해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향후 단일사례 실험설계를 통해 학교놀이치료 연구가 활성화되는 것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hild-centered school play therapy utilizing a single case experimental design for a child exhibiting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behavioral observation was conducted by means of Direct Observation Form during class and recess situation over 13 weeks. Teacher Report Form was utilized three tim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visual analysis and through the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In the DOF syndrome scale, immature/withdrawn scale for classroom observations and total problems scale during recess observation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mmature/ withdrawn behavior decreased during the school play therapy intervention, and the impact continued to be very effective after the intervention was removed. The total problems during recess decreased over time during the intervention phase, and it continues to be minimally effective. The teacher reported that presenting problems decreased or remained the same over time. The implications for how to further promote school play therapy through a single case experimental design and its significance is also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