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직종 내 잔차 성별 임금격차와 노동시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한국의 장시간 노동 문화는 평소 가사 및 돌봄 노동을 많이 하지 않는 한국 남성 기준에 맞추어진 것으로, 따라서 노동시간이 긴 직종일수록 이는 여성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여 직종 내 차별에 의한 성별 임금격차가 커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실증분석 하고자 하였으며, 분석 결과, 한국에서는 대부분의 직종에서 긴 노동시간에 대한 임금 프리미엄이 높지 않으며, 노동시간은 남성 집중직종에서는 잔차 성별 임금격차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여성 집중직종에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hours and the residual gender wage gap in Korea. Because the labor practice of working long hours in Korea favors men, who tend to spend little time on domestic labor, long working hours can influence the residual gender wage gap by discriminating against women. We analyze this discrimination empirically, and fi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eturns from working long hours are not high in most occupations in Korea. Second, working hou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sidual gender wage gap in male-dominated occupations, but not in female-dominated 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