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민탄가>의 창작시기 및 작가를 추정하고, 작품세계를 면밀하게 살핀 후, 역사적 성격과 가사문학사적 의의를 규명하는 데 있다.
<민탄가>는 진주농민항쟁이 일어나기 3년 전인 1859년에 진주에서 창작된 현실비판가사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이진풍은 임술농민항쟁의 주모자인 유계춘으로 추정된다. 작가는 임술농민항쟁의 초기 주모자의 한 사람으로 추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박수익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렇지 않다면 최소한 사족층이었을 것이다.
<민탄가>는 먼저 진주읍민을 괴롭힌 각종 수취제도의 문란상을 고발했다. 이어 아전에서부터 시작하여 수령, 감사, 세도가, 왕으로 이어지는 지배층 전체를 비판했다. 그리고 그 동안 읍폐의 시정을 위해 해왔던 읍민의 노력도 서술했다. 마지막으로 읍민과 사족층의 단결된 힘으로 읍폐를 시정하는 민중항쟁을 제시했다.
<민탄가>의 작가의식은 합법적인 저항 단계를 넘어서 투쟁적인 민중항쟁의 단계로 들어서고 있다는 역사적 성격을 지닌다. 한편 <민탄가>는 삼정문란기 현실비판가사를 계승한 마지막 삼정문란기 현실비판가사로서, 후에 창작된 현실비판가사인 <심심가>나 <만주가>의 가교 역할을 했다는 가사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ume the creating time and the writer of < MinTanGa >, to look closely at the world of this work, and to identify the historical character and the significance on the Gasa History.
< MinTanGa > is a Gasa criticizing the reality which was created at 1859 in Jinju. Lee-Jinpoong, who appears in his works, is presumed to be Yu- Gaechun, the master of the peasant uprising. The writer of < MinTanGa > is also presumed to be one of the early masters of the peasant uprising. It is supposed specifically to be Park-Sooik, otherwise it would have been at least one of nobility.
< MinTanGa > first accused various grievances on the tax system that plagued the Jinju people. Next < MinTanGa > accused the entire ruling class, beginning with the 'ageon' and leading to the 'sulyeong', 'gamsa', 'sedoga', and the king. In the meantime, < MinTanGa > also described Jinju people's efforts to correct the problem. Finally, < MinTanGa > showed a people's uprising against the ruling class by the power of the people.
The historical character of < MinTanGa > can be summarized as showing the world of works that went beyond the passive resistance stage legally guaranteed to the people and entered the stage of aggressive massive popular uprising. On the other hand, < MinTanGa > has the significance on the Gasa history that inherits prior Gasa criticizing the reality creating from 'Samjung' disordering period and is the last Gasa criticizing the reality creating from 'Samjung' disordering period. And also < MinTanGa > has the significance on the Gasa History that plays a role of a bridge between Gasa criticizing the reality creating from 'Samjung' disordering period and < simsimga >·< Manjug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