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자기효능감,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 창의적 성향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3-6학년 초등학교 학생 495명이었다. 과학적 자기효능감은 학년과 성별에 따라 차이는 없었다. 과학적 자기효능감 원천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났다. 대리적 경험과 생리적 상태에 대한 점수가 3-4학년이 5-6학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창의적 성향에서도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지만 창의적 성향 중 동기와 모험심은 3-4학년이 5-6학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들 중에서는 생리적 상태 점수가 가장 높고, 언어적 설득 점수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선생님이나 부모님, 친구들의 칭찬과 격려가 충분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성공에 대한 경험이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두 번째로 자기효능감 원천 중에 언어적 설득의 설명력이 높았고, 세 번째로는 창의적 성향 중 인내가 설명력이 높았다. 이러한 과학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이 학년과 성별에 따라서 약간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science self-efficacy,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by grade and gender. For this study, 495 3rd-6th elementary students were participate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rade and gender in science self-efficacy. In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but not by grade. 3rd and 4th graders’ scores about ‘vicarious experiences’ and ‘physiological and affective states’ were higher than the those of 5th and 6th graders. Among creative personality, 3rd and 4th graders’ scores about ‘motivation’ and ‘challenge’ were higher than those of 5th and 6th graders. Comparing the scores among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the mean scores of ‘social persuasion’ were relatively low than other sources. This showed that praises and encouragement of teacher, parents and friends had not been sufficient. In terms of variables’ influences on science self-efficacy,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mastery experiences’ in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had the most explanatory power and ‘social persuasion’ had the second explanatory power. ‘Patience’ in creative personality showed the third explanatory power. The variables’ influences on science self-efficacy showed differences by grade and ge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