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교육실습에서 과학수업의 관찰과 개선을 위한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의 활용
Application of the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for Observing and Improving Science Teaching in Teaching Practicum
김수정 ( Sujung Kim ) , 박종원 ( Jongwon Park )
UCI I410-ECN-0102-2018-300-003865734

본 연구에서는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을 과학과 교육실습에 적용하여 예비교사들의 수업 개선을 위한 과정을 돕고자 하였다. 4명의 예비교사와 지도교사가 KTOP을 이용하여 수업을 관찰, 분석하고, 협의 과정을 통해 다음 수업을 개선하는 과정으로 교육실습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KTOP에 의한 수업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협의 활동을 하여 KTOP이 예비교사들의 수업 개선에 실제적인 안내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KTOP을 이용한 협의 활동이 다음 수업의 개선에도 도움을 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보다 더 효과적인 수업 개선을 위해서는 더 많은 반복적인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도 추론할 수 있었다. 교육실습과정에 대한 관찰과 면담, 설문을 통해 KTOP이 보다 더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교사는 KTOP 활용에 대한 확신을 갖고 학생 중심의 수업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고, KTOP의 항목수를 줄이고, KTOP의 양식을 좀 더 편리하게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학습이란 자기 주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갖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것도 추론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was applied to teaching practicum for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science teaching. To do this, four pre-service teachers and supervisor teacher observed and analyzed the lessons using the KTOP, and tried to improve he succeeding lessons through collaboration activities. As a result, the pre-service teachers conducted the collabor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lesson analysis using the KTOP,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KTOP took a practical role of guidance for improv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eaching. And it was found that the collaboration activities using the KTOP helped the improvement of the succeeding lesson, however, more iterative application is necessary for more effective improvement of teaching. Based on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observation, and interview,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need to be confident about the use of the KTOP and strive to become a student-centered lesson. And, the KTOP needs to be modified by reducing the number of items and as a more convenient form. Finally, it was inferred that we need to give an effort to help students recognize that learning should be self-direc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