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충격 단백질(heat shock proteins, HSPs)은 다양한 종양에서 과발현 되고, 종양이 형성되는 과정이나 그 예후에 영향을 주며, 분자량에 따라 HSP27, HSP60, HSP90, HSP100 등으로 구분한다. Heat shock protein90은 세포 내 불안정한 단백질을 보호하는 역할을 통해 질병의 유지에 기여하는데, 정상 조직에 비해 종양 세포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된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폐암 중 비소세포 폐암에서 Heat shock protein90 family 발현과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임상적 특징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종양의 생물학적 표지자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HSP90 family의 발현과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생존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HSP90α는 림프혈관강 침윤이 되지 않은 환자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고(p=0.014), HSP90β은 조직학적 형태에서 편평상피세포 암종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p=0.003), GRP94 은 분화도가 낮을수록 높은 발현을 나타내었다(p=0.048). 생존율은 HSP90α, HSP90β, GRP94 모두 발현 차이에 대한 유의성이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miRNA-126, miRNA-155, miRNA-200c의 발현은 비소세포 폐암의 진단을 위한 생물학적 표지자 및 예후 인자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비소세포폐암의 치료용으로 HSP90 family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GRP94가 종양의 예후예측을 위한 중요한 인자라 사료된다.
Heat shock proteins (HSPs) are induced as a self-defense mechanism of cells when exposed to various external stresses, such as high fever, infection, free radicals, and heavy metals. They affect the prognosis in the process of tumor formation. HSP is classified into four families: HSP27, HSP60, HSP90, and HSP100, depending on molecular weight. Heat shock protein 90 (HSP90), a molecular chapero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ellular protection against various stressful stimuli and in the regulation of cell cycle progression and apoptosis.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HSP90 family protein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and the correlation of their expression levels with clinicopathologic factors and patient survival rat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HSP90α showed higher expression in patients with no lymphovascular invasion (p=0.014). HSP90β showed a higher expression of squamous cell carcinoma (p=0.003), and an over expression of glucose-related protein (GRP94)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or differentiation (p=0.048). However, none of the HSP90 proteins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survival status in patients with NSCLC.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HSP90α might contribute more to the carcinogenesis of NSCLC than HSP90β, and GRP94 and isoform selectivity should be considered when HSP90 inhibitors are studied or utilized in the treatment of NSC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