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티벳학의 선도적 업적들은 거칠게 다음 두 전통으로 양분된다. 첫째는 유럽의 문헌학적 전통이다. 일본 역시 불교학에 치중한 채로 대체적으로 이 전통에 속하며, 서구식의 엄밀한 문헌학은 부재하지만 방대한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역사 쪽에 치우치고 있는 중국 역시 이 전통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는 미국의 인문학적 전통이다. 인도학 · 티벳학 역시 인문학의 한 분야임이 강조되며, 따라서 인문학 제 분야에서 다루는 공통의 이슈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의 전수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근(현)대성 (modernity), 젠더 (gender) 등의 이슈들이 인도나 티벳의 문맥에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 지의 문제들을 논쟁적 방식으로 검토한다. 후자의 전통에서 학술적이고 지적인 연구는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는 글쓰기 능력과 유리되어 있지 않다.
이 글에서 필자는 두 전통 중에서 첫번째 전통에 속하는 독일 학술 전통에서 가장 탁월한 학자인 디터 슈 Dieter Schuh가 이룩한 성취들 중에서 천문학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제시한다. 그의 주된 업적은 『티벳 달력 계산의 역사에 관한 연구』 Untersuchungen zur Geschichte der tibetischen Kalenderrechnung (1973) 의 출판이다. 인도 후기 밀교 텍 스트인 Kalacakratantra 문헌에 기반하고 있는 티벳의 천문학 (인도-티벳 천문학 Indo-Tibetan astronomy; skar rtsis) 연구는 여전히 티벳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분야 중의 하나이지만, 그는 당시에 충격적이었고 현재도 놀라움을 던져 주는 상기 단행본을 저술했다. 또한, 그는 중국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티벳의 점성술 (중국-티벳 점성술 Sino-Tibetan astrology; nag rtsis)에 대한 연구, 티벳어 사본과 판본에 대한 연구, 티벳어로 된 공식 문서들, 티벳-몽골 외교 관계에 대한 연구, 티벳 법률에 관한 연구, 인구학, 서부 티벳에 관한 지역학적 연구 등등 다방면에 걸쳐 높은 수준의 문헌학에 기초하여 선구적인 업적들을 보여 주었는데 필자의 후속 논문에서 나머지 저작들에 대한 소개도 예정되어 있다.
The German scholar Dieter Schuh is one of the contemporary giants of Tibetan studies. His seminal and ground-breaking work Untersuchungen zur Geschichte der tibetischen Kalenderrechnung, published in 1973, has made a lasting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Tibetan astronomical and historical research, clarifying the essence and calculation bases of Indo-Tibetan astronomy in Tibet (skar rtsis). Further, he has pioneered such new fields in Tibetology as sino-tibetan astrology (nag rtsis), manuscripts and xylographs, historical documents, the diplomatic history between Tibet and Mongolia, law, demography, research into Western Tibet, etc. In this work, I attempt to show the integral components of his scholarship on Indo-Tibetan astronomy by means of presenting the structure and outline of his works.
Because I focus on showing the main ideas and contents according to his line of thinking in each work, readers may benefit from easily spotting parts they are interested in. Thereby, this work may serve as a guideline for further research into the details of each work. The amount I assign to each work may vary in accordance with the gravity and importance I subjectively assume.
Lastly, the aim of this work is simple: numerous quality non-English writings are not easily used simply because they were not written in English. The depth and breadth of the time-honored German tibetology based on high-level philology has been a great source of inspiration to Tibetan scholars in the world. As a part of bridging the gap between English and non-English scholarship, this work, which introduces Dieter Schuh’s research into Indo-Tibetan astronomy, may be helpful to enrich and foster future research, being another source of inspi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