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동인도회사들은 유럽 대륙으로의 차문화 도입과 차산업의 확산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아시아 차 교역과 관련하여서는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1610년 일본 히라도에서 밴텀을 거쳐 유럽으로 차를 최초 수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히라도 상관을 통해 최초 교역한 차가 일본의 차라고 하더라도 어느 지역의, 어떤 차인지 분명하지 않아서 일본차라고 규정짓기에는 소명되어야 할 사항이 많이 남아있다. 차의 교역 물량 또한 17세기 초 일본의 무역통계구조로 볼 때 소량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반면 히라도 상관을 통해 교역한 차가 중국차라고 유추할 수도 있다. 당시 명과의 교역을 원했던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명의 해금정책으로 인해 정식교역을 할 수 없었으나 중국의 물품과 물자를 해상의 밀무역에 의지해 수급에 도움을 받고 있었다. 때문에 밀무역을 통해 중국차를 입수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을 것으로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인류의 역사에서 전쟁을 제외하고 타 문화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꼽을 때 거래나 교환과 같은 무역거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무역거래는 다른 문화의 경계를 넘나들며 기술, 과학, 예술, 생활, 사상 등의 변화와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유럽의 차문화 확산에 있어 유럽 동인도회사들의 차 무역 활동이 기여한 바가 크다.
East Indian companies in Europe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introduction of tea culture to the continent and the proliferation of the tea industry. In connection with the Asian tea trade,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first exported tea to Europe via Bantam in Hirado, Japan in 1610. However, the exact kind of tea remains unknown, even though it was a Japanese tea. There are many definitions of a Japanese tea. The trade volume of tea was estimated to be a small proportion of Japan's trade statistics in the early 17th century. On the other h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tea traded through the Hirado Commerce Hall was a Chinese tea. At the time,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which wanted to trade with the Ming dynasty, was unable to trade officially because of the Sea Prohibition policy. However,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which needed Chinese goods and supplies, was helping to supply goods by relying on maritime merchants. The present study analysis suggests that it was not difficult to obtain Chinese t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