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에 거주 중인 베트남출신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 사회이미지를 심층면접을 통한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보울딩과 스콧의 국가이미지 이론인 인지적 차원, 정서적 차원, 행동적 차원이라는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먼저 인지적 차원에서 한국에 대해 경제적으로 발전된 국가라는 이미지가 강했고 한국 사회의 결혼이민자에 대한 인식에 대해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한국 사회의 과잉 교육열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정서적 차원에서는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으며 이는 가족 관계와 갈등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 사회의 국가지원과 관공서의 친절한 서비스 등에 대해 긍정적으로 한국사회에서의 결혼이민자들에 대한 편견을 부정적으로 느꼈다. 한국의 가족, 음식, 세대 차이에 대한 것에 혼란감을 느꼈고 한국생활은 학업,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갔다. 행동적 차원에서는 한국으로의 국제결혼 추천에 긍정적 행동양상을 띈 반면 한국인들이 결혼이민자에게 가하는 부정적 행동에 대해 대응하지 않았고 문화, 언어 등 소통에 노력하였다.
베트남 출신 결혼이민자들의 총체적인 한국 사회 이미지는 경제적으로 발전한 국가라는 긍정적인 인식이 강했으며 만족감은 또한 긍정적인 한국 사회의 이미지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민자들의 한국 사회이미지는 한국으로의 이주 후에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 인생의 변화에서도 영향을 받았으며 또 남편의 경제력은 결혼이민자들의 생활 만족과 한국 사회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쳤다. 또 긍정적인 한국 사회의 이미지는 국제결혼에 대한 추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who are residing in the Daegu area to examine their views of Korean society.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consulted the theory of national images proposed by Boulding and Scott with its cognitive dimension, affective dimension, and behavioral dimension.
Concerning the image of Korean society in cognitive dimension,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had an image of Korea as an economical developed country.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considered it still insufficient. As for the excessive educational fervor in Korean society. Concerning the image of Korean society in affective dimension, first,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had a positive image of Korea, which was influenced by the family relationships and conflicts. They felt positive about Korean society was support from the state. and what they felt negative about Korean society was the prejudice against marriage immigrants. Concerning the image of Korean society In behavioral dimension, They were positive about international marriage with a Korean spouse. Second, they did not respond to the negative behavior of Koreans against them. And they tried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language. The overall image of Korean society viewed by the female marri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