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2.38.196
18.222.38.196
close menu
}
KCI 등재
2016년 국회의원선거 출구조사 오차 분석
Analysis of Prediction Error of the Exit Polling for 2016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Korea
이수빈 ( Subeen Lee ) , 정진우 ( Jinwoo Chung ) , 김영원 ( Youngwon Kim )
조사연구 18권 4호 149-168(20pages)
DOI 10.20997/SR.18.4.7
UCI I410-ECN-0102-2018-300-000641652

본 연구에서는 2016년 실시된 20대 국회의원선거 출구조사 자료를 토대로 하여 출구조사에서 발생한 오차의 발생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새누리당과 더민주당에 대해서는 후보자 지지율을 실제보다 크게 예측하고 국민의당에 대해서는 작게 예측하는 경향이 있었다. 예측오차를 투표소추출오차와 투표소추출 외의 오차로 구분하여 보면, 새누리당의 경우에는 투표소추출에 의한 오차가 더 큰 반면에 더민주당과 국민의당의 경우에는 투표소추출 이외의 추가오차가 더 크게 발생했다. 예측오차를 당일투표자 예측오차와 사전투표자 예측오차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세 개의 정당 모두 당일투표자 예측오차가 더 컸다.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data of the exit poll for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Korea. The empirical studies show that systematical positive bias of candidates affiliated to Saenuri and Theminjoo Party occurs, whereas systematic negative bias of candidates affiliated to People21 Party occurs. The total survey error in exit poll is divided by sampling error of polling sites and the additional error which comes from non-response, early voting and second stage sampling error of voters in each sampled polling site. Our analysis show that the additional error is lower than the sampling error of Saenuri Party. In case of Theminjoo and People21 Party, the additional error is higher than the sampling error. In addition, we separate the final prediction error into the prediction error of voters on the election day and the prediction error of early voters. We notice that the prediction error of voters on election day is higher than the prediction error of early vot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