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2013년도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 코호트자료를 활용하여 만 40세 이상 치주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CVD 누적 치료 경험률 및 개인의 소득과 지역의 CDI의 차이에 따른 치료 경험률을 파악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주질환이 있는 대상자에서 고혈압은 34.3%, 뇌졸중은 12.6%의 누적 치료 경험률이 확인되었다. 둘째, 치주질환이 있는 대상자에서 지역적 차이(CDI)에 따른 고혈압의 치료 경험률의 차이는, CDI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치료 경험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셋째, 치주질환이 있는 대상자에서 소득분위에 따른 고혈압 치료 경험률의 차이는, 소득분위가 낮은 집단에서 치료 경험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1). 넷째, 치주질환이 있는 대상자에서 지역적 차이(CDI)에 따른 뇌졸중 치료 경험률의 차이는, CDI가 높을수록 뇌졸중 치료 경험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다섯째, 치주질환이 있는 대상자에서 소득분위에 따른 뇌졸중 치료 경험률의 차이는, 소득분위가 높아질수록 뇌졸중의 치료 경험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1). CVD와 치주질환의 관계에 지역의 CDI와 개인의 소득은 역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국민의 구강 및 보건의료 소비에 있어 사회경제적, 지역간 격차 해소에 대한 정책적 대안으로,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으로 보건의료에 대한 접근성 개선과, 공공의료기관의 확충으로 보건의료서비스의 지리적 접근성 취약지를 해결하고 동시에 보건의료서비스의 이용 가능성을 높이는 등 다각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ces between personal income and social depriva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hypertension, stroke) and periodontal disease. This study used 12 years of cohort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overing the years 2002 to 2013. Among the patients aged more than 40 years who had received treatment for periodontal disease 224,067 and 284,730 who had not received treatment for hypertension and stroke, respectively,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Kaplan-Meier analysis revealed differences in the rate of treatment for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hypertension, stroke) according to regional differences, the rate of treatment increased as the composite deprivation index value increased. The difference in treatment rates for cardio- cerebrovascular disease (hypertension, stroke) according to income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with low income. This study empirically prove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systemic disease and periodontal disease varies depending on personal income and the regional socioeconomic deprivation level. This shows that the clinical influence of periodontal illness on systemic disease differs according to the person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residential area and that an individual’s characteristic (income and the regional) needs to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patient’s clinical intervention in the disease treatment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