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그 간 이루어진 유아교육과정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고 향후 개선방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4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교육과정 관련 학술지논문 426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네트워크 분석 결과, 유아교육과정 관련 연구는 크게 ‘교육과정 운영 및 개선’에 관한 연구와 ‘교육과정 개발과 내용’에 관한 연구로 나눌 수 있었다. 둘째, 시기별로 살펴본 결과, 제1시기 ‘교육과정의 역할과 의미에 관한 철학적 고찰’, 제2시기 ‘국가수준교육과정의 교육내용 및 유아교사의 인식 탐구’, 제3시기 ‘교사용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교육과정 관련 연구의 양적 증가’, 제4시기 ‘유아교육과정에서 유아교육제도 및 정책적 측면으로의 탐구 확대’로 유아교육과정 관련 연구의 흐름이 변화해 왔다. 이상의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정 관련 연구의 전반적 경향과 시기별 경향, 그리고 시대적 변화의 흐름을 미시적,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과정의 과거와 현재, 미래의 방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using a big data analysis method and to examine future direc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o do thi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keyword networking analysis on 426 journal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published in Korea until April 2017.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whole network analysis, studies relating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were largely divided into 'study on curriculum operation and improvement' and 'study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ntents'. Second, it has changed by time from the first period to the fourth period in the other named ‘philosophical consideration about the role and meaning of the curriculum’, ‘the educational contents of national-level curricula and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 increase in quantity in research related to curricula focused on guide books for teachers’, and ‘beyond curriculum, the expansion of exploration in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and system.’ This study contributes to comprehensive research abou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direction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a micro-macro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