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의 心統性情論은 양면성을 지닌다. 심통성정에 대한 사실적 설명은, ‘心이 性을 담고 있으면서 知覺 작용을 통해 情으로 발현시킨다’는 의미였다. 이러한 맥락에서는 心은 항상 性·情을 통섭하는 것이요, 또 性·情을 통섭하는 주체로서의 心은 氣에 속하는 것이었다. 이와 달리, 당위적 관점에서는 心統性情이 ‘心이 性·情을 주재하여, 未發時에는 中을 이루고, 已發時에는 和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는 의미로 설명된다. 이러한 맥락에서는 心이 性·情을 주재하지 않는(못하는) 상황이 설정되고 있으며, 또 ‘心의 주재’를 ‘天理의 주재’로 연결시키기도 한다. 心統性情에 대한 ‘사실적 설명’은 氣質變化의 수양론으로 연결되는 반면, ‘당위적 설명’은 存養省察의 수양론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사실적 설명’과 ‘당위적 설명’은 여러 모로 서로 내용이 다른바, 따라서 우리는 둘을 구별해 보아야 한다.
心統性情論의 양면성은 한국 성리학에서도 그대로 발견된다. 退溪는 ‘당위적 설명’에 초점을 맞추어 심통성정론을 이해하고, 수양론에 있어서도 ‘持敬을 통한 存養省察’을 강조했다. 그러나 栗谷은 ‘사실적 설명’에 초점을 맞추어 심통성정론을 이해하고, 수양론에 있어서도 ‘誠之를 통한 氣質變化’를 강조했다. 요컨대 한국 성리학의 양대 조류는 바로 주자 심통성정론의 양면성과 긴밀하게 연관된 것이었다.
Chu Hsi's theory of Sim-tong-sung-jung(心統性情) has dual aspects. On the one hand, he explains this thesis that mind comprehends nature and sentiment. On the other hand, he explains this thesis that mind should supervise nature and sentiment. The former is realistic explanation, and the latter is normative explanation. While the former is linked to the theory of changing the temperament, the latter is linked to the theory of preserving conscience and reflecting desire. Like this, realistic explanation and normative explanation differ from each other, so we must distinguish between them.
Such dual aspects are also found in Korean Neo-Confucianism. Toegye understands Sim-tong-sung-jung focused on normative explanation, and emphasized “dominating the mind with piety.” It means distinguishing (and choosing) properly between natural order and human desire when the mind is aroused. But Yulgok understands Sim-tong-sung-jung focused on realistic explanation, and emphasized “changing the temper with faithfulness.” In short, the two major currents in Korean Neo-Confucianism were closely related to the dual aspects of Chu Hsi's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