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이하 비교가능성)의 차이가 주가표류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검토한다. 즉, 비교가능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관련 공시정보에 대한 투자자들의 이해와 동의가 증가하여 이익공시일 이후에 나타나는 주가표류현상을 낮추는데 기여하는가에 대한 실증결과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주가표류현상이 낮게 나타남이 발견되었다. 이는 비교가능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회계정보에 대한 투자자들의 이해와 분석력이 증가되어 이익공시 이후의 주가표류현상이 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정보의 비대칭성이 높은 기업의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비교가능성이 주가표류현상을 보다 뚜렷하게 완화시키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는 비교가능성이 정보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기업과 투자자간의 정보비대칭성을 완화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K-IFRS)의 도입 이전 일수록 이후에 비해 비교가능성이 주가표류현상을 뚜렷하게 완화시키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K-IFRS의 도입 이전이 이후보다 공시환경이 취약하기 때문에 비교가능성이 주가표류현상에 보다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결과로 해석된다. 추가적으로 비교가능성의 대푯값 대체, 이익공시일 대체 등 강건성 분석 등을 통해 일관된 결과들이 도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회계정보의 품질이 주가표류현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확장하여,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에 따라 주가표류현상이 다르게 관찰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즉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 증가가 회계정보이용자가 정보에 대한 속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동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여 주가표류현상을 완화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comparability) affects Post-earnings-announcement drift(PE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ether high comparability contributes to lowering stock price drift after the announcement of earnings by increasing investors' understanding and consent of related disclosure information.
Our sample consists of 4,625 firm-years over 2006-2014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 relationship between unexpected earnings and subsequent abnormal returns are diminished by comparability. Second, this mitigation effect is prominent in firms with high information uncertainty. Third, comparability significantly alleviates the PEAD prior to the adoption of K-IFRS. In addition, this study re-verified the main hypothesis by measuring various variables of the comparability and other proxies of the earnings announcement dat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affects the PEAD by expanding the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and proving that the PEAD is obser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inancial statements comparabilit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tock price drift after earnings announcement is mitigated as the financial statements comparability increases. In other word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increase in the comparability of financial statements contributes to mitigating the PEAD by acting as a factor affec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stors. This suggests that it will be helpful in discussing future practices related to PEAD and the academic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