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0
216.73.216.20
close menu
KCI 등재
퀴즈를 활용한 이공계열의 플립드러닝 수업사례 연구
Flipping a college science course with offline quizzes: A case study
이승민 ( Seung Min Yi ) , 이지연 ( Ji-yeon Lee )
DOI 10.15833/KAFEIAM.23.3.397
UCI I410-ECN-0102-2018-300-000683229

최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블렌디드 러닝의 확산 추세와 함께 특히 플립드러닝에 대한 여러 대학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플립드러닝이란 “교실에서 이루어지던 교수자의 강의를 사전에 온라인으로 학습하고 수업 중에는 학습자의 활동을 중심으로 기존 수업에서 개별숙제로 주어지던 학습과제를 함께 해결하거나 그룹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등 교수자-학습자 및 학습자-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늘리고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업설계”(Bergmann & Sams, 2012)로, 특히 수준별 연계 및 대형 강의가 필수인 이공계열 수업의 경우, 플립드러닝의 적용 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기대되나 이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이공계열 수업의 특성을 고려한 플립드러닝 수업설계 및 운영에 중점을 두고 수도권 소재 A대학의 <재료과학Ⅱ> 수업의 수강생 65명과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면담자료를 수집하여 퀴즈를 활용한 온오프라인 학습의 연계효과 및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1) 플립드러닝 수업에서 퀴즈는 온-오프라인 학습의 연계, 오프라인 수업활동, 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2) 오프라인 수업활동, 학습자료, 퀴즈, 교수자, 동영상은 수업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 퀴즈, 질의·응답 및 토론, 개별면담시간으로 구성된 플립드러닝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만족도 및 긍정적 인식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이공계열 수업의 효과 및 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사례연구로, 유사한 수업특성을 공유하는 다른 이공계열 플립드러닝 수업운영 및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실천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Blended learning trends are fast expanding across all sectors of education, but their influence is more evident in higher education with the latest buzz in “flipped learning.” As its name indicates, “flipped” learning is designed to convert the typical teaching and learning flow to maximize the use of limited class time and to engage students in active learning (Bergmann & Sams, 2012). While the benefit of flipped learning seems most promising for math, science and engineering courses with relatively higher workloads and larger class sizes, there are few research studies that examined the actual learning gains and provided practical guidelines to flip college math, science, and engineering courses. To respond to this gap in flipped learning research and practice, this study designed a series of flipped learning modules for < Material Science II > course taught at a 4-year university. Survey data from 65 students as well as interview data from 9 students and the instructo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in-class quizze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1) offline quizzes had positive impact on connecting on-line and off-line learning and learner satisfaction; 2) various in-class activities, learning materials, quizzes, the instructor-made videos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learner satisfaction; and 3) students and the instructor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flipped learning as compared to traditional lecture-based instruction. The study results could provide some empirical data as well as practical guidelines to design and implement flipped learning in the field of math, science, and engineering.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