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창의 인재육성 교육정책에 따른 한국무용교육의 창의적 접근요소를 탐색·가치를 조사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화정책과 창의인재교육, 한국무용교육에 관한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라는 두가지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문화예술정책은 2004년을 기점으로 도입기, 정착기, 전환기, 현재까지의 네 가지로 분류되며 문화창조산업과 창의인재육성교육이 주요내용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울시의 대표적 창의인재육성교육의 사례는 서울창의인성교육센터와 서울창의예술학교로 여러 장르의 예술분야를 교육하며 현직 예술가를 통해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셋째, 한국무용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창의적 인재육성 교육에 중심이 되는 융·복합장르를 위한 응용 교육으로 다양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넷째, 한국무용교육이 지닌 가치는 역사적 문화를 기반으로 한 여러 미학적 유형을 지니고 있으며 자기 성찰적 사고를 배울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창의성 함양을 위한 다각적인 실증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Research aims to explore and explore the creative approach of Korean dance education based on the education policy of fostering creative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we investigated the literature of cultural policies, creative education, and research on Korean dance education and case studies and this conclusion is as follow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2004, the culture and art politie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four periods, namely the introductory, adaptive, transitional, and present, with the cultural creative industry and creativity education as the major contents; second, the major cases of creativity education in Seoul are the Seoul Creativity Education Center and Seoul Creative Art School that provide various genres of art education and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active artists; third, Korean dance has rich potentials as applied education for convergent genres that are the centers for currently active creativity education; fourth, Korean dance education has various aesthetic types based on the historic culture, with an educational value for self-reflective thinking. In the end, further multilateral experimental studies are needed on creativity cul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