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김혜순 시의 `몸`에 나타난 `여성성`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김혜순 시의 `몸`은 우리 사회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남성 중심 사고 사회 속에서 여성의 삶이 어떻게 제한적이고 고통스러웠나를 보여주는 데 주력한다. 시에서 나비와 검은 그물 스타킹, 허수아비의 `몸`을 통해 보여주는 것은 고통과 억압을 받는 여성, 자신의 권리를 침해·학대 받는 여성의 모습이다.
김혜순의 시에서 `몸`은 부권 이데올로기 하의 여성을 드러내는 것 같지만 그 내포적 의미는 여성들의 자유스러운 정신세계의 개진이다. 어려운 사회 속에서도 서로 의견을 나누고 힘을 도모하는 모습을 통해 자신들의 권력 영역을 넓혀가려는 여성의 주체 정립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여성의 주체 인식은 늘 변방에 있던 여성들을 시대의 중심부로 진입시키려는 의도적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몸`은 오직 꿋꿋하게 고유한 여성성을 지켜내려는 여성의 저항의식으로 나타난다. 동시에 `몸`은 여성들의 건강하고 씩씩한 그러면서 관능적인 생산성, 생명성을 향한 찬양을 표상한다. 시인은 `몸`을 통해서 `사랑은 여성 스스로 선택할 그리고 선택하여야만 하는 권리`라는 것을 항변하고 있다. 여성의 생은 시대의 사회적 질서에 대항하여 투쟁해야 하는 치열한 생이어야 하는 것임도 이야기하고 있다. 동시에 세속적인 가치의 거부를 통해 자유를 향한 초월적 의식을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김혜순 시의 `몸`을 통해 보여주는 여성에 대한 여러 가지 관점을 탐구 하였다. 즉 폭력적인 사회 계급 아래에서도 장애물들을 극복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초월하려는 여성을 살필 수 있었다. 그것은 곧 `몸`을 통해 더욱 자유로워지려는 여성의 주체적 의식을 밝히는 작업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femininity` in the `body` which appeared in the poems of Kim Hyesun. The `body` in the poems of Kim Hyesun focuses on how restrictive and painful the lives of women are in the male dominated thinking that forms the basis of the society. The butterfly, black fishnet stockings, and scarecrow in the poems show the images of women who are suffering from and oppressed and who forfeit their own rights and are abused by men.
In Kim Hyesun`s poems, the `body` seems to reveal women under the patriarchal ideology on the surface, but its implication implies the women`s liberation of free spiritual world. It shows the establishment of subject of women trying to expand the their range of power through the way of sharing opinions and strengthening themselves in difficult situations. The subject cognition of women means the intentional strategy to enter women who were always on the periphery into the center of the era.
In the poems, the `body` appears only as the stubborn resistance consciousness of women to keep an intrinsic femininity. At the same time, the `body` represents the praise for women`s healthy, vigorous, and sensual productivity and vitality for life. In addition, the `body` implies the poet`s protest that `love is a right that women are able to choose and must choose for themselves.` It suggests that the life of a woman must be a fierce struggle against the social order of the times. At the same time, it reveals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toward freedom through the denial of secular values.
Through the discussion as described above, we could consider various perspectives of women, who constantly try self-transcendence by overcoming obstacles even under violent and repressive social class by expressions of `body` in Kim Hyesun`s poems.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of women who want to be more free through the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