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최명익 소설 여성 형상의 변모와 작가 의식
Feminine form transfiguring and writer consciousness in novels by Choi Myung Ik
김효주 ( Kim Hyo-joo )
DOI 10.22273/SMLT.70.4
UCI I410-ECN-0102-2018-800-000685768

이글은 해방 전후 최명익 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식의 변화를 조명하여 최명익의 세계관과 소설 창작 방법론의 변화 과정을 고찰하였다. <폐어인>에서 <심문>까지의 여성 형상은 작가의 대변자인 남성 인물과의 관계가 전제된다. 이들 작품의 여성 인물은 작가와의 사적이고 개인적인 관계를 근간으로 하여 형상화된다. 그러다 <장삼이사>에 이르러 작가는 자신의 개인적 여성 취향에서 벗어나서 세상에 존재하는 여성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자 한다. 이는 최명익 소설의 여성 형상 변모에 큰 전환점이 된다. 이후 <마천령>에서 여성 형상에 대해 또 한번 혁신을 보이는데 이는 혁명 대열에서 객관적으로 필요한 여성 인물은 어떤 모습이 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작가의 여성 형상 모색의 결과이다. <장삼이사>와 <마천령>은 여성 인물 형상화에서 전환점을 맞고 있다는 점은 유사하지만 그 결과는 부정의 극과 긍정의 극이라는 상반된 면을 보인다. 이렇듯 최명익은 창작 초기에 지녔던 여성 의식과 세계관에 대해 끊임없이 고뇌하고 근대화로 소외되어 가는 세상과 민중을 혁신하고자 하였다.

This writing is about the change in awareness of femininity highlighted by Choi Myung Ik novels around the time of independence in consideration of the view of the world and the changing process of methodology of novel creating by him. In Choi Myung Ik novels, a feminine character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reality of the time or functions as the core of the theme that is being conveyed. The feminine form from < Pye-ue-in > to < Shim-mun >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male character which is the resemblance of the writer. As such, the feminine character of these writings, are formed on the basis of personal and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writer. But as it moves on to < Jang-sam-ie-sa >, the writer abandon the personal view of femininity and observes the form in objectivity. Likewise in < Ma-chen-ryung >, feminine character is a result, sought from a necessity of objectivity from the line of revolution. From < Jang-sam-ie-sa >, Choi Myung Ik arrives at self-awareness that by being bound to personal taste, it is entirely impossible to suggest a truly new and significant feminine form. The attitude towards the feminine form outlasts the independence. Thus, the modernist in Choi Myung Ik before the independence and the realist in Choi Myung Ik after, is viewed as a continuation rather than a severance.

Ⅰ. 서론
Ⅱ. 최명익 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 재현 양상과 그 기능
Ⅲ. 여성 형상 변모의 의미와 창작 방법론의 변화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