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토우로 보는 신라무용과 그 의미
Meaning of Dance in the Shilla Dynasty Through Clay Dolls
김성혜 ( Kim Sung-hye )
한국무용사학 6권 47-78(32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073680

지금까지 고신라무용에 대한 연구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문헌기록에만 국한한 경향이 있으며, 고고학 자료인 신라토우에 관심을 가진 연구 성과도 있었지만, 자료의 활용범위가 부분적이었고, 고고학 자료를 해석하는 데 있어 문헌기록을 충분히 활용하지 않은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고는 신라토우에 나타난 무용 관련 유물 전반을 중심으로 하여 관련 문헌기록을 바탕으로 고신라무용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 글이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탈춤의 기원을 612년 백제의 미마지 관련 기록을 중시하여 일반적으로 백제의 기악에서 찾았다. 그러나 신라의 `탈 쓴 토우` 및 `탈춤 토우`의 편년이 4-5세기이므로 우리나라 탈춤의 기원을 기존 학설보다 200년 이상 앞당겨야 할 것으로 여겨지며, 역사적 문헌 기록보다 더 이른 시기에 이미 탈춤이 연행되었다는 사실을 신라토우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또한 신문왕대의 탈 모양에 대한 기록을 보면 탈의 모양이 뾰족한 것, 깎은 듯한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고 했는데, 이는 황남동에서 출토된 4-5세기의 `탈 쓴 토우`와 `탈춤 토우`의 모양 그대로이다. 따라서 7세기 말 신문왕대의 탈은 4-5세기의 탈이 전승되어 왔음을 짐작할 수 있으며, 고분에서 발견된 것으로 미루어 당시 신라인들의 생활 속에 탈춤이 연행된 모습의 일면이거나, 장례 의식의 연행과 관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관악기 가(?)와 현악기 고[琴]의 반주에 맞춰 춤추는 토우를 통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는데, 내물왕 대에 지어진 가무(?舞)는 신라의 관악기인 가(?)의 반주 음악에 맞춰 추는 춤으로서 4세기 중엽에 그 시대를 대표하는 춤이었으며 7세기 말 신문왕대까지도 궁중에서 연행된 춤이었다. 그리고 4-5세기에 가와 고의 반주에 편성된 춤꾼은 1인 또는 2인이며, 성별 구분이 없었다. 황남대총의 토우는 장례의례 절차 중 봉토를 거의 다 만든 후에 넣는 의기로서 춤을 추는 토우를 넣었다. 이는 왜(倭) 윤공천황의 장례식과 김유신의 장례식에 나타난 기록과 더불어 신라인들이 장례의례에 악·기·무를 연행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장례 풍습은 통일신라시대와 조선전기에도 계속되었고,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장례의례에 음주가무(?酒歌舞)를 하고 놀이판을 벌이는 것의 기원은 4-5세기 신라시대까지 소급할 수 있을 것이다.

Studies about Shilla`s dance seem to have been done mostly through documentary records. There have been some archeological efforts to reflect on Shilla`s dance with an interest in its clay dolls; but, only a small number of them were examined without enough reference to documentary records. This essay is to examine Shilla`s dance found in clay dolls and the related documentary records. Researchers have usually thought that the origin of Korea`s mask dance could be traced back to Baekje`s instrumental music based upon the record of the year of 612 on Baekje`s Mimaji. Yet Korea`s mask dance started about 200 years earlier than that since the origin of `masked clay dolls` and `mask-dancing clay dolls` of Shilla excavated in Hwangnam-dong could be traced back to about the 4th or the 5th century. These clay dolls tell us that mask dance in Korea was performed much earlier than the time shown in the historic documents. Accroding to the records on mask shapes in the time of King Sinmun, there used to be various shapes of masks from sharp to bluff ones, which were exactly the same as those of `masked clay dolls` and `mask dancing clay dolls`. Therefore it can be hypothesized that the masks of the end of the 7th century, in the era of King Sinmun, were handed down from those of the 4th or 5th century. The fact is that they were also found in old tombs, Sillarians enjoyed mask dance in their daily life, and mask dance was employed at funerals. Clay dolls dancing to the play of Ga, a Wind instrument, and Go, a stringed instrument, show that the Ga dance was typical in the mid 4th century and that it was handed down until the King Sinmun era around the end of the 7th century. One or two dancers, regardless of their sex, were recruited for the dance. In Hwangnam tomb(Hwangnam-dae-chong) dancing clay dolls were dug up, which were buried as a kind of ceremonial ornaments when the mound was almost finished. This informs us that Sillarians enjoyed music and dancing in funerals, which is reassured by the records on the funeral ceremonies of Kim Yusin and Japanese King Yungong. That tradition was found in the time of unified Shilla, early Choseon, and even today. The tradition of having fun, music and dance goes back to the 4th or the 5th century of Silla.

1. 머리말
2. 신라토우의 출현 배경
3. 무용 관련 토우의 종류
4.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