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19세기 프랑스에서 『종의 기원』으로 대표되는 다윈주의 이론이 수용된 양상을 분석한다. 다윈주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와 더불어 이론의 어느 부분이 다윈에 고유한가, 다윈의 이론이 어떻게 해석되고 어떻게 기능해 왔는가 등의 문제들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논의되어왔다. 많은 역사가들은 19세기 프랑스에 진화론자는 많았지만 다윈주의자는 없었다는 점에서 독특한 상황을 보인다고 평가해왔다. 이 연구에서는 19세기 프랑스에 다윈 이론의 옹호자가 존재했는지 여부를 규명하는 작업을 넘어서 옹호자와 비판자를 포함하여 당시 정치적, 사회적, 과학적 상황 속에서 생물학자들이 무엇을 “다윈주의”로 규정하고 있었는지, 그 내용을 어떻게 평가했는지, 그 배경은 무엇이었는지를 두 시기로 나누어 살핀다.
다윈의 이론이 처음 소개되었을 때 프랑스 학자들은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다윈 이전에 이미 생물종의 진화에 관한 논의가 널리 확산되어 있었고, 1870년 이전까지 대다수 학자들은 다윈을 라마르크의 후예로 여겼다. 더구나 라마르크의 생물학 이론으로부터 도출된 진보주의 경향과 상충되던 나폴레옹의 정치적, 종교적 입장으로 인해 라마르크의 이론은 주목받지 못했고 다윈이론 역시 주류 학계의 관심 밖에 있었다. 당시 학계에서 권위를 지녔던 과학아카데미의 생물학자들 역시 콩트의 실증주의 영향으로 라마르크와 다윈 이론의 사변적 경향을 비판하고 있었다. 그러나 콩트 사후 실중주의 학파 내에 분열의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라마르크와 다윈 이론의 실증적 성격이 부각되었고, 다윈이론을 새로운 시각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로 이어졌다. 1870년 이후 생물학자들은 실험적 방법을 통해 진화론을 연구하면서 다윈이론과 라마르크 이론의 종합을 시도하기도 했다.
1883년 바이스만이 등장하면서 신세대 생물학자들은 다윈의 이론에 내재된 우연성과 불연속성을 발견하게 되었고, 이들은 바이스만과 다윈이론을 함께 강력히 비판하기에 이른다.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복잡한 정치적, 종교적, 사회적 상황 속에서 다윈이론은 주로 진보주의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해석되고 이용되었다. 19세기 프랑스의 다윈주의 수용이 보여주는 다양한 양상들은 과학지식이 과학계의 변화에 따라서, 그리고 그를 수용하는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여러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The interpretation on the meaning of so called `Darwinism`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has been differed according to the social and atmospheres and scientists` scientific and political affiliations. Historians have been arguing that there had been no Darwinist in France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number of evolutionists. Instead of focusing on the existence of or non existence of Darwinst in France, this research tries to find the ways French scientists define what Darwinism is, how they evaluate the Darwinism, and the circumstances which led them such interpretations and evaluations.
Until 1870s, darwinism had been considered as an offshoot of lamarckianism, and most french scientists did not pay particular attention to Darwin`s theory. Moreover, because lamarckism seemed to be implying strong reform ideology which could threat imperial polity, Napoleon consciously suppress evolutionary ideas including Darwinism. Bulk of major French scientists were imbued with Comtian positivism, and Darwin`s theory was rejected as groundless speculation by them. After Comte, however, some refurbished positivists tried to recognize the empirical aspects on Darwinism; Other biologists hoped to integrate darwinism with lamarckism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With the appearance of Weissman`s germ theory which refused the inheritance of acquired characteristics, darwinism once again confronted with attack from new generation of experimental biologists who recognized the discrepancy between their conception of nature and Darwin`s, concerning contingency and discontinuity of life forms. Various ways of french rception of darwinism during the 19th century demonstrates that scientific knowledge could be accepted or rejected according to the social, political, as well as scientific circumstances and scientists` affiliation among those circum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