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문학 텍스트가 갖는 언어, 문화, 역사의 통합적 교육 가능성을 주목한 바, 특히 재외동포 대상의 한국어교육에서 학습자들의 공감과 정체성 형성에 다양한 가능성을 내장한 디아스포라 문학의 활용을 주목하였다. 재외동포에게 디아스포라 문학이 전달할 수 있는 두 가지 의미는 `시간적으로 과거와 미래의 다리 역할 혹은 공간적으로 한국과 재외동포 거주국의 다리 역할`을 가지는 것이고,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다시금 알리는 역할`을 가지는 것으로 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륵의 〈압록강은 흐른다〉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재외동포가 얻을 수 있는 한국어교육의 의미와 역할을 추출해보았다. <압록강은 흐른다>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인공이 더 넓은 세계로 나아가는 구조를 보이기 때문에 전체 3부로 나누어 의미를 분석하였다. 1부는 미륵이 고향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는 시기로, 다양한 한국 고유의 놀이와 명절풍습, 글자 등의 문화요소가 소개됨으로써 재외 동포가 이를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된다. 2부는 미륵이 서울에서 청년 시절을 보내는 시기로, 일제 강점기와 3.1운동이라는 한국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건을 이해할 수 있다. 1부와 2부의 역할은 앞선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에서 디아스포라 문학의 역할 중 두 번째 역할, 즉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다시금 알리는 역할`의 세부 사례가 될 것이고, 한국의 `특수성`을 드러내는 사례가 될 것 이다. 3부는 미륵이 독일에서 성년을 보내는 시기로, 디아스포라의 양상을 통해 개인의 과거와 현재를 돌아볼 수 있고, 고향에 대한 상실감과 애착을 토대로 타인을 이해하며 소통할 수 있다. 이는 앞선 재외 동포 한국어교육에서 디아스포라 문학의 역할 중 첫 번째 역할, 즉 `시간적으로 과거와 미래의 다리 역할 혹은 공간적으로 한국과 재외동포 거주국의 다리 역할`의 세부 사례가 될 것이고, 디아스포라의 맥락이라는 특수성과 더불어 소통의 보편성을 내포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education of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of literary texts. Especially, it focuses on diaspora literacy which incorporates diverse possibilities in the formation of empathy and identity of learners in Korean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Diaspora literature has two meanings for overseas Koreans: `The role of the bridge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or between Korea and the resident country of overseas Koreans,` and `The role of reintroducing Korean Culture and History`.
Specifically, I tried to extract the meaning and ro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overseas Koreans can obtain through the text analysis of Mirokli`s "Der Yalu Flieβt". Since the main character has a structure that moves to the wider worl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e meaning of the "Der Yalu Flieβ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analyzed. Part 1 is the time when Mirok spent his childhood in his hometown. It is an opportunity for overseas Koreans to experience it directly or indirectly by introducing cultural elements such as various Korean plays, holiday customs and letters. Part 2 is a time when Mirok spent his youth in Seoul and can understand the events that are essential to Korean history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3.1 movement. The role of Part 1 and Part 2 will be a detailed ex ample of the second role of diaspora literatur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overseas Koreans, namely, `the role of reintroducing Korean culture and history`, and revealing `uniqueness` of Korea. The third part is the time when Mirok is going to spend his adult years in Germany. Through the aspect of diaspora, one can look back on the past and present of the individual, and can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others based on the sense of loss and attachment to his or her hometown. This will be the first example of the role of diaspora literac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overseas Koreans, namely, `the role of the bridge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or between Korea and the resident country of overseas Koreans`,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universality of communication along with the uniqueness of the diaspora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