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KCI 등재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측정가능성 검토
Development and Feasibility of Indicators for Ecosystem Service Evaluation of Urban Park
김은영 ( Kim Eunyoung ) , 김지연 ( Kim Jiyeon ) , 정혜진 ( Jung Hyejin ) , 송원경 ( Song Wonkyong )
환경영향평가 26권 4호 227-241(15pages)
UCI I410-ECN-0102-2018-500-000723317

도시에서의 인간의 삶의 질은 생태계에 의존하고 있으며, 삶의 질에 기여하는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중 도시공원에서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수원시 도시공원에 시범적용하여 지표의 측정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생태계서비스 평가항목 및 지표 목록을 추출하고 전문가 대상 2차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지표별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도시공원은 공급, 조절, 지원, 문화서비스 전체 분야에 대해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서비스에서는 식량생산성과 수자원을 제시하였으며, 조절서비스에서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홍수 및 폭풍피해 저감, 소음저감, 열섬저감, 토양질 유지, 지원서비스에서는 생태네트워크와 생물다양성 유지, 문화서비스에서는 운동, 휴식, 교육 및 사회활동의 평가항목을 제시하여 총 12개 평가항목과 14개의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항목과 지표를 토대로 수원시 내 도시공원 두 곳에 시범적용하여 지표의 측정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항목을 통해 도시의 생태계서비스 및 생물다양성 현황을 진단하는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도시에서의 생태계서비스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향후 도시차원에서 생태계서비스 지역평가, 생태계서비스 총량 및 균등분배에 관한 전략 수립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

A human in urban areas has depended on ecosystem for well-being, so it is important to evaluate urban ecosystem services which contribute significantly to human well-being. In this study we classified ecosystem functions and set indicators used for evaluating ecosystem services of urban park by Delphi method. As a result, it derived 12 items and 14 indicators of ecosystem services to evaluate them such as vegetable garden, canopy cover, biodiversity, and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derived evaluation indicators, the feasibility of the indicators was examined by applying to two urban parks, Maetan park and Seoho-Ggotme park, in Suwon City. We also suggested strategies to improve each ecosystem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evaluation. It is significant to recognize unknown services in urban parks. The results can be used for improving urban ecosystem services consistently in response to current rapid urbanization. In the future, the city should make a master plan on ecosystem service on urban area, beyond urban park, considering both of quality and quantity.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결과 및 고찰
IV. 결 론
사 사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