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가정폭력(家庭暴力) 발생원인(發生原因)의 이론(理論)과 실제(實際)
Theories and Status of the Causes of Domestic Violence
김승권 ( Seung-kwon Kim )
UCI I410-ECN-0102-2018-300-00012274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家庭은 사랑의 공동체로서 暴力이 일어날 수 없는 場으로 생각하여 왔으나 가족원간의 관계가 원만치 않으면 폭력이 일어날 가능성이 다른 어느 곳 보다 높다고 한다. 葛藤論的 立場에서 가족은 잠재적이고 실제적 葛藤을 내포하는 體制이며, 역동적인 家族關係에서 가정폭력의 발생은 있을 수 있는 현상이므로 이를 回避할 것이 아니라 효과적으로 管理, 解決하여 家族關係를 강화시킬 수 있다. 그런데 가정폭력에 대한 최근의 관심은 주로 폭력의 深刻性, 後遺症, 加害者 處罰 및 被害者 保護를 위한 社會福祉的 對策 등에 있다. 이는 가정폭력에 대한 사회적 문제의식을 고조시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가정폭력의 발생원인을 정확히 糾明하기 위한 관심을 등한시함으로써 폭력예방을 위한 근원적 대책마련에 한계를 노출시키는 측면도 있어 우려된다. 따라서 本 硏究는 家庭暴力이 발생하는 원인을 理論的 側面과 經驗的 側面에서 論議하고 糾明하고자 한다. 먼저 家庭暴力 關聯 세가지 理論을 논의한다. 첫째, 선천적 및 후천적으로 攻擊的 性向을 지녔거나, 술 또는 마약 중독 등 個人的 次元의 精神病理學的 理論; 둘째, 社會學習, 交換, 相互作用 등의 社會心理學的 理論; 셋째, 社會的 資源, 葛藤體系 또는 文化的 規範 등에 의해 설명되는 社會文化的 理論 등이다. 이어서 한국에서 실시된 가정폭력관련 주요 실태조사에 나타난 폭력발생원인을 검토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理論과 實證的 資料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에서 가정폭력의 주요 발생원인으로 여섯 가지를 제시한다. 이어서 이를 기초로 한국 사회에서 가정폭력의 다양한 발생원인을 제거할 체계적인 해결방안을 加害者 個人과 汎社會的 側面에서 모색한다. 이는 보다 적극적인 자세에서 가정폭력에 대처하는 것으로 향후 우리 가정에서 가정폭력을 추방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family violence has come to be considered one of the main social problems in Korean society. Despite the efforts of many active human rights agencies to prevent violence between family members, family violence is still prevalent. This study is divided into four major sections. The first section describes major theoretical perspectives of family violence. Three groups of theories are explained: intraindividual theory, social-psychological theories, such as frustration-aggression, social-learning and role-modeling, resource, exchange, conflict, and sociocultural theories such as structural, cultural, feminist. These theories are useful to understand and properly explain, family violence in any society. Nevertheless the theories are limited because they discuss individual relationships, that is, one-on-one relationships. Steinmetz suggested a tri-level model that captures not only the cyclical nature of domestic violence but also the interface between the intraindividual, social-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levels of violence. The second section explains the causes of family violence from Korean survey data. Family violence occurs in various places in Korean society. In the third se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eories and causes of family violence is discussed in the Korean contex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causes of domestic violence in Korean society are ordered as follows: patriarchal ideology, alcoholism, lack of resources, that is, low income, unemployment, family conflict, family environment during child`s upbringing, character faults, dissimilarity in character of family members, particularly husband and wife, weak family relationship, excessive investment in and expectation from their children, etc,. In the last section, individual, familial, and social counter-measures that could remove the causes of and prevent family violence, are suggested. In the end,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lleviate of the causes of family violence in Kore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