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PAV를 활용한 공유형 항공 이동수단의 해외 연구 동향 및 국내 적용 방안
The Overseas Research Trends for the On Demand Mobility and Domestic Application Plan Using PAV
임은하 ( Eunha Lim ) , 황호연 ( Hoyon Hwang ) , 차재영 ( Jaeyoung Cha ) , 김석범 ( Seokbeom Kim ) , 박병운 ( Byungwoon Park )
UCI I410-ECN-0102-2018-500-000720629

현재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많은 나라들이 사회적 손실을 발생시키는 교통체증 증가로 인한 심각한 사회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현존하지 않은 새로운 교통수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세계 여러 기업에서는 미래형 개인항공기(PAV; personal air vehicle)를 활용한 정기 운항이 아닌 고객 요구 시 운항하는 공유형 항공 이동수단(ODM; on demand mobility)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항공우주국, 우버사 및 에어버스사에서 진행하고 있는 공유형 항공 이동수단 프로젝트의 현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공유형 항공 이동수단을 우리나라에 적용하였을 때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3개의 출퇴근 경로를 정하여 공유형 항공 이동수단 이용 시 효과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At present,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s well as Korea, have faced serious social problems due to increased traffic congestion resulting in the social loss. As a result,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new transportation which is not exist. This is why many companies around the world are trying to solve this problem with transportation innovation through On Demand Mobility(ODM) which uses Personal Air Vehicle(PAV) that is operated on demand by customer rather than scheduled transport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the On Demand Mobility projects of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UBER, and AIRBUS. Also, this study presents the benefit of adopting this On Demand Mobility systems into Korea. Three commuting routes were set up in the metropolitan area in Korea, and the benefit of using the On Demand Mobility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current public transportation and private car.

Ⅰ. 서 론
Ⅱ. 공유형 항공 이동수단 연구동향
Ⅲ. 공유형 항공 이동수단의 국내 적용 방안
Ⅳ. 결 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