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협력적 거버넌스가 사회문제의 새로운 조정과 해결 양식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협력적 거버넌스는 전통적인 행정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새로운 정책 수단에 의해서 보다 효과적인 사회문제 해결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 협력적 거버넌스의 문제해결 효과나 성과가 경험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갈등 사례에서 협력적 거버넌스 작동의 실제를 살피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협력적 거버넌스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공적인 갈등해소 사례라고 평가되는 이천시의 환경기초시설 입지 갈등사례를 통해 협력적 거버넌스의 효과, 즉 협력의 효율성, 내만족도, 공정성, 관계개선도, 관계의 지속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협력적 거버넌스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갈등 사례에서 협력의 효율성에 대한 영향요인은 경제적 손실인식, 네트워크 적절성 등이었으며, 협력의 내용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은 협력과 정에 대한 불신, 협상기술의 적절성이었고, 협력의 절차에 대한 만족도 영향요인은 협력과정에 대한 불신, 정부 불신, 환경 및 사회적 불신 요인 등이었다. 또한 협력 이후의 관계개선 정도에 대한 영향요인은 경제적 손실에 대한 인식, 정부불신, 환경 및 사회적 불신, 가용절차 확립 여부 등이었으며, 협력관계의 지속성에 대한 영향요인은 정부불신, 환경 및 사회적 불신 여부, 가용절차 확립 여부 등이었다. 공공갈등에 있어 협력적 거버넌스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 손실에 대한 인식 개선, 네트워크의 적절성 확보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협력과정에 대한 신뢰 향상을 위한 노력, 협상 기술 향상을 위한 교육 지원, 정부의 대주민 신뢰와 주민의 대정부 신뢰 확보, 그리고 활용가능하고 필요한 가용절차 마련 등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Collaborative governance has been emphasized, recently, as a new administrative mechanism for effectively resolving social problems. However, there do not seem to be many attempts to empirically test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on the resolution of social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which factors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A current case of collaborative resolution of conflict between city government and residents associated with the siting of waste treatment facility in the Ichon city offers the unique opportunity to study the determinants of effective governance. This study assumes that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is measured by (a) efficiency of collaboration, (b) satisfaction about collaboration results, (c) equity, (d) improvement of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residents, and (e) continuity of collaborative relationship.
According to data analysis of survey administered to civil officers and citizens in Ichon, first, the efficiency of collaboration was influenced by the perception of economic damage and appropriateness of network. Second, the satisfaction about collaboration results was influenced by the distrust in collaboration process and appropriateness of negotiation skills. Third, the satisfaction of collaboration process was influenced by the distrust in collaboration process, distrust in government,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distrust. Fourth,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residents was the perception of economic damage, distrust in government, social and environmental distrust, and availability of collabor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can be enhanced by the relief of dread associated with economic damage, incentive for proper network, recovery of trust in collaboration process, education for negotiation skills, government`s trust in people, people`s trust in government, and establishment of available process for collab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