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부모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선정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 283건의 부모교육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대상, 연구방법의 내용분석을 하였고, 논문별 주요 주제어 빈도분석을 통해 주제어간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네트워크분석을 하였다. 기초적 동향분석 결과, 부모교육 연구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부모교육 프로그램 수행이 포함된 151건의 연구에서 오프라인 형태가 압도적이었다. 논문별 주요 주제어의 전체 빈도분석에서는 `프로그램`, `어머니`, `영유아` 순으로 높게 나왔다. 연구대상별 주요 주제어 빈도분석 결과, 영·유아, 초등학생 연구는 `어머니`가, 청소년 및 기타 연구는 `예비부모`, `부모역할` 등이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 네트워크분석에서는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효과`가 영향력 높은 노드로 분석되었고, `교사`, `다문화가족` 등 은 부모교육 네트워크의 중심에 근접하지 않았다. 또한 연구대상별 네트워크분석 결과를 통해 연결정도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제언으로 부모유형 및 생애주기에 따른 부모교육을 위한 청소년 이후 자녀 대상 부모교육 연구와 부모교육 방법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에서 부모교육과정의 설계 및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Parent Education, to provide basic data of Parent Education research and to select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We analyzed the contents of 283 articles related to Parent Education by year,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nd we also analyzed the frequency of major keywords in each article and did Network Analysis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keywords. As a result of the basic trend analysis, the study on Parent Education was the highest in young children and the number of off - line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overwhelming. In the Frequency Analysis of major keywords in each article, `program`, `mother`, `infant and child` were higher than ot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whole Network Analysis, `effect` was analyzed as a highly influential node except `program`. And `teacher` and `multicultural family` were not close to the center of Parent Education network. In addition, we compared the relative center of degree of conne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etwork Analysi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Parent Education research considering parent type and life cycle should be conducted, discussion about Parent Education method is needed, and a theoretical approach to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as Parent Education course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