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80
216.73.216.80
close menu
KCI 등재
공매도 거래와 기업의 주가급락위험
Short Sale and Stock Price Crash Risk
김현숙 ( Hyeon Sook Kim ) , 조성순 ( Seong-soon Cho ) , 박순홍 ( Soonhong Park )
UCI I410-ECN-0102-2018-300-00056406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에서는 공매도 거래를 기업의 부정적인 정보를 미리 예측함으로써 주가하락이 발생할 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정보거래로 간주한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공매도 거래가 정보거래라는 일관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대체로 특정 사건을 중심으로 공매도 거래가 미치는 단기적인 효과에 중점을 두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비금융업종 기업을 대상으로 대리인 이론 근거하여 공매도 거래가 향후 주가급락을 예측하는 정보거래인지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실증 분석 하였다. 일반적으로 주가급락은 투자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사건이며 그 원인으로는 대체로 경영자가 기업 내부의 부정적인 정보를 최대한 숨기는 등 대리인 문제가 언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매도 거래가 대리인 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향후 주가급락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지 공매도 거래 및 대리인 문제 관련 변수들을 다양하게 측정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공매도 거래가 증가할수록 향후 주가급락이 일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관되지 않아 공매도 거래가 주가급락 측면에서 장기적인 정보거래라는 직접적인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 대리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에 따라 표본을 다양하게 재분류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본 결과에서도 외국인투자자 비율이 낮아 경영자의 의사결정 과정을 효율적으로 통제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공매도 거래와 주가급락 간의 뚜렷한 연관성이 대부분 존재하지 않아 국내 자본시장에서 공매도 거래가 정보거래가 아닐 수 있다는 개연성을 보여주는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short-selling is a long-term trading which is positively related to one-year ahead stock price crash risk from the agency theory perspective. Using the KOSPI listed non-financial firms over the period between 2001 and 2015, we find that although the level of short-selling is weakly related to a firm`s future crash risk, there is no strong supporting evidence that short-selling could predict a firm`s crash risk. This is not consistent with the view that short-sellers are informed investors based on the agency theory. Furthermore, classifying the sample into several sub-samples based on the likelihood of agency problems, we could not still clearly find that there i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the level of short-selling and a firm`s future crash risk regardless of the level of agency problems. A set of additional analyses also show that the likelihood of agency problems do not affect the relation between short-selling and one-ahead stock price crash risk directly. On balance, our findings do not strongly support the view that short sellers are able to detect bad news hoarding in advance by managers in Korea.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Ⅲ. 표본 및 변수설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 고 문 헌
<부록> 주요변수 설명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