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학습장애 학생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 중재연구에 관한 문헌 분석
Literacy analysis of the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김화수 ( Kim Wha-soo ) , 김민정 ( Kim Min-jeong ) , 박정숙 ( Park Jung-sook )
DOI 10.19049/JSPED.2017.18.3.06
UCI I410-ECN-0102-2018-300-000539651

본 연구는 학습장애 학생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 중재연구에 관한 국내 문헌 분석을 통해 읽기 중재 연구의 동향을 확인하고 향후 중재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된 75편의 연구를 선정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1∼5명의 대상자, 초등학교 고학년 남학생 대상 중다기초선설계, 단일 집단 연구가 많았다. 둘째, 중재 환경은 총 11∼20회기, 주 3∼5회, 회기별 40∼50분, 방과 후 학교의 교실에서 이루어졌으며, 중재 목표의 측정은 평가점수를 많이 사용하였다. 중재의 질적 수준 분석에서는 대부분의 연구가 반복 측정, 일반화, 중재 충실도, 사회적 타당도를 기술하지 않았다. 셋째, 교수전략별 분석 결과 독립변수는 독해력 증진 전략, 종속변수로는 읽기 이해를 살펴본 연구가 많았다. 넷째, 읽기 유창성 증진 전략으로 반복읽기가, 읽기 이해 증진에는 내용향상 전략(컴퓨터/멀티미디어 활용), 단일인지전략(책읽기), 복합인지전략(2가지 이상의 단일 전략 활용)이 많이 사용되었다. 결과에 따른 논의점을 살펴보고 향후 중재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ends in reading intervention stud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intervention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domestic literatures on the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intervention studies for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o do this, this study selected 75 studies from 2007 to 201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ubjects was usually 1 to 5, and there were many multiple baseline designs for male students of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and also there were many single group studies. Second, the intervention environments consisted of 11 to 20 sessions, each of which were 3 to 5 sessions per a week, 40 to 50 minutes per a session, mostly in after-school classrooms. And the measure of the intervention goals used evaluation score. I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interventions, most studies did not describe repeat measures, generalizations, intervention fidelity, and social validity. Third, there were many studies on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as independent variable and reading comprehension as dependent variable. Fourth, contents improvement strategy(using computer/multimedia), single cognitive strategy(reading) and multiple cognitive strategy(using two or more single strategies) were frequently used to improve reading fluency. This paper examined the discussion points of the result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intervention studie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분석대상논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